혈관 내 스텐트 삽입으로 치료한 대동맥식도누공 환자 1예

대동맥식도누공은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이 되는 드문 질환이다. 대동맥식도누공는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할 경우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표준치료는 수술이다. 그러나 수술과 관련된 사망률이 30-60%에 이른다. 최근에 일부 환자들에 있어 수술의 대안으로 혈관 내 스텐트 삽입을 시행하고 있다. 이번 증례는 토혈과 복통으로 내원한 84세 여자 환자에서 진단된 대동맥식도누공을 혈관 내 스텐트 삽입한 경우이다. 내시경검사에서 중부식도에 5 cm 가량의 종괴와 함께 종괴 표면 중앙에 궤양 및 출혈을 동반하고 있었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하행...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pp. 78 - 82
Main Authors 성영경, 김혜정, 배소영, 송송이, 박실비아, 박광보, 이준행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06.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대동맥식도누공은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이 되는 드문 질환이다. 대동맥식도누공는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할 경우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표준치료는 수술이다. 그러나 수술과 관련된 사망률이 30-60%에 이른다. 최근에 일부 환자들에 있어 수술의 대안으로 혈관 내 스텐트 삽입을 시행하고 있다. 이번 증례는 토혈과 복통으로 내원한 84세 여자 환자에서 진단된 대동맥식도누공을 혈관 내 스텐트 삽입한 경우이다. 내시경검사에서 중부식도에 5 cm 가량의 종괴와 함께 종괴 표면 중앙에 궤양 및 출혈을 동반하고 있었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하행 흉부 대동맥류가 있었다. 환자를 경흉부 수술의 고위험군으로 판단하여 혈관 내 스텐트 삽입을 시행하였고 이후 추가적인 수술적 치료도 시행하지 않았다. 대동맥식도누공 치료에 있어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은 일부 국한된 환자에서 수술의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으나 장기간의 생존을 보장하기는 어렵다. An aortoesophageal fistula is a rare cause of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The standard treatment of an aortoesophageal fistula is surgical, because conservative management results in very high mortality. Nevertheless, the mortality related to the surgical treatment ranges from 30 to 60%. Recently, endovascular stent grafting has become an alternative to open surgery in selected patients. We report an aortoesophageal fistula treated with endovascular stent grafting in an 84-year-old female with hematemesis and abdominal pain. Endoscopy showed a 5-cm pulsating esophageal mass with central ulceration and bleeding. Computed tomography (CT) of the abdomen revealed a descending thoracic aortic pseudoaneurysm. Being at high risk in open thoracic surgery, she underwent endovascular stenting. We suggest that endovascular stent grafting is an alternative treatment of aortoesophageal fistula, instead of open surgery, in selected patients. (Korean J Med 2011;80:S78-S82)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582.2011.80..041
ISSN:1738-9364
2289-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