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자발 비장파열에 대한 도관경유색전술 1예
저자들은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초기 증상으로 나타난자발 비장파열을 도관경유색전술으로 치료하여 성공한 증례를 보고한다. 36세 남자가 내원 1일 전부터 발생한 복통으로응급실에 방문하였다. 복부의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매우 거대한 비장비대와 함께 복강내출혈이 관찰되었고, 비장의 하단에 국소적인 파열 및 조영제가 혈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이관찰되었다. 환자가 혈류역학적으로 안정하였기 때문에 저자들은 수혈을 시행하며 도관경유색전술을 시도하였다. 이후시행한 골수 흡인 검사에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만성기로 진단되었고, 환자는 시술을 시행한 후...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pp. 585 - 588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내과학회
01.11.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저자들은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초기 증상으로 나타난자발 비장파열을 도관경유색전술으로 치료하여 성공한 증례를 보고한다. 36세 남자가 내원 1일 전부터 발생한 복통으로응급실에 방문하였다. 복부의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매우 거대한 비장비대와 함께 복강내출혈이 관찰되었고, 비장의 하단에 국소적인 파열 및 조영제가 혈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이관찰되었다. 환자가 혈류역학적으로 안정하였기 때문에 저자들은 수혈을 시행하며 도관경유색전술을 시도하였다. 이후시행한 골수 흡인 검사에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만성기로 진단되었고, 환자는 시술을 시행한 후 13일째 별다른 부작용 및합병증 없이 퇴원할 수 있었다. 이로써 저자들은 혈액암 환자에서 자발 비장파열이 발생하였을 때 도관경유색전술을 우선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We report a rare case of a patient who presented with pathological splenic rupture as the initial manifestation of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and was treated successfully by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A 36-year-old man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a 1-day history of abdominal pain. Computed tomography showed gross hemoperitoneum with marked splenomegaly, with suspected focal ruptur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pleen and the extravasation of contrast material indicating active bleeding. Given the patient’s hemodynamic stability, he was treated with partial splenic embolization by an interventional radiologist, and transfused with red blood cells. Examination of a bone marrow aspiration and biopsy led to a diagnosis of chronic phase CML. He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on day 13 post-embolization.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initial treatment of spontaneous splenic rupture, especially in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582.2015.89.5.020 |
ISSN: | 1738-9364 2289-0769 |
DOI: | 10.3904/kjm.2015.89.5.5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