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과 평가 연계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실태 분석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에 따라 수업 실제가 다르게 운영될 수 있기 때문에 학생의 인식을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활동 중심 수업과 평가의 연계가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수업과 평가 연계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수업과 평가 연계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136개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업 내용과 활동이 평가에 반영된다고 인식하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육과정평가연구, 23(1) pp. 57 - 82
Main Authors 진경애, 박정, 정연준, 이명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에 따라 수업 실제가 다르게 운영될 수 있기 때문에 학생의 인식을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활동 중심 수업과 평가의 연계가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수업과 평가 연계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수업과 평가 연계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136개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업 내용과 활동이 평가에 반영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1학년에 비해 2학년은 수업 활동의 학생 평가 반영 정도에 대해 낮게 응답하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대도시가, 학교 유형으로는 특목고 학생들이 수업 활동의 평가 반영에 대한 응답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평가 결과가 영어와 수학 교과 모두에서 학습 증진에 효과를 미치는 정도에 대하여 학생들의 응답은 1학년 수업이 2학년 수업보다, 대도시가 읍‧면지역 보다, 그리고 특목고가 일반고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과 평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학교 유형이나 지역에 따른 차이를 줄이는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부가적으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대체로 교사의 응답 평균이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 활동 평가 후 즉시적 피드백을 제공하는지에 대해서도 학생들은 교사보다 낮은 응답 반응을 보였다. 이는 교사가 학생들의 요구나 태도를 지각하는데 있어서 학생의 시각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lignment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high school Mathematics and English classes. Align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is important in that if the contents and the activities dealt in the classes are not adequately aligned with the assessment, the student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may decrease. In order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on the alignment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survey with 504 teachers and 7,251 high school student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that the class contents are reflected in the assessment.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first grade students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in the perception in that the second grade students perceived lesser linkage of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comparing the first grade students.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lignment of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cities and the type of high schools. The students in large cities and the special purpose schools perceived more linkage of the instruction and assesment comparing small cities and general high schools. Comparison of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perception show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ighter linkage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an the students. There should be some educational policies to lessen the gap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lignment of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fluenced by the grade–first or second grade-, the size of cities and the type of schools as well as the gap with the teachers. KCI Citation Count: 1
ISSN:1229-1544
2671-728X
DOI:10.22799/jce.2020.23.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