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게껍질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화장품소재로서의 유효성 평가
본 연구는 멍게껍질에서 추출 정제된 GAGs의 항산화 및 보습효능을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활용 가능한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스킨과 에센스를 제조하는 기준에 따라 GAGs 1.0%를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항산화활성과 collagenase 저해활성, collagen 생성능, 섬유아세포 증식능 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활성억제효과는 GAGs가 포함된 스킨 20.5%, 에센스 12.4%이었고,collagenase 저해활성은 GAGs가 포함된 스킨에서는 94.6%로 효과가 높았지만 에센스는 80.1%의 저해활성을 보...
Saved in:
Published in | 농업생명과학연구, 49(3) pp. 155 - 16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농업생명과학연구원
01.06.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5504 2383-8272 |
DOI | 10.14397/jals.2015.49.3.155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멍게껍질에서 추출 정제된 GAGs의 항산화 및 보습효능을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활용 가능한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스킨과 에센스를 제조하는 기준에 따라 GAGs 1.0%를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항산화활성과 collagenase 저해활성, collagen 생성능, 섬유아세포 증식능 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활성억제효과는 GAGs가 포함된 스킨 20.5%, 에센스 12.4%이었고,collagenase 저해활성은 GAGs가 포함된 스킨에서는 94.6%로 효과가 높았지만 에센스는 80.1%의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Collagen 생성효과는 GAGs가 함유된 스킨과 에센스가 각각 129.9%, 120.2%로 나타났으며, 섬유아세포 증식능도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p<0.0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ntioxidant and moisturizing effect of purified GAGSfrom ascidian tunics as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A skin-tonner and essence which contain1.0% of GAG were manufactured conventionally. These product then were tested for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collagen-formation stimulator, and fibroblast-proliferation promoter abilities. The DPPHscavenging activity for skin-tonner and essence were 20.5% and 12.4% respectively. Collagenaseinhibitory activity of skin-tonner was higher (94.6%) than the essence (80.1%). Skin-tonner andessence with GAGs showed collagen-formation stimulation ability, which were 129.9% and120.2% respectively. These products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p<0.01) fibroblast-proliferationpromoter abiliti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1926.2015.49.3.003 |
ISSN: | 1598-5504 2383-8272 |
DOI: | 10.14397/jals.2015.49.3.1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