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SS PPP 기법을 이용한 제주도 지표 변형 감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내 공공 기관에서 운영 중인 GNSS 기준국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GNSS 데이터를분석하여 제주도 지표 변형을 산출하고 기선 분석을 수행하였다. GNSS 데이터 처리를 위해 다중 PPP 측위 필터를 개발하고 IGS 네트워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IGS 제공 좌표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제주도 GNSS 네트워크에서 2014년 12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수집된 GNSS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기준국들의 3차원 좌표와 타원 고도를 산출하고 제주 남서부, 중부 및 북동부 지역 방향의 기선을...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56(1) pp. 31 - 4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02.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0.56.1.31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내 공공 기관에서 운영 중인 GNSS 기준국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GNSS 데이터를분석하여 제주도 지표 변형을 산출하고 기선 분석을 수행하였다. GNSS 데이터 처리를 위해 다중 PPP 측위 필터를 개발하고 IGS 네트워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IGS 제공 좌표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제주도 GNSS 네트워크에서 2014년 12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수집된 GNSS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기준국들의 3차원 좌표와 타원 고도를 산출하고 제주 남서부, 중부 및 북동부 지역 방향의 기선을 구성하여 기선 해석을 수행하였다. 처리 결과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위치한 GNSS 기준국들은 연 평균 약 0.2 - 0.4 cm로 침강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마라도 기준국은 비교적 현재 고도를 유지하나, 성산일출봉 기준국은 타 기준국에 비해 3배 이상 빨리 침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산 일출봉 지역이 지표 변화 속도가 빠른 이유가 화산 활동과 관련이 있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원인 규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We process GNSS data recorded by a network of receivers that are operated by several domestic institutions in the Jeju volcanic island in order to monitor possible volcanic precursory activities. A GNSS data processor is formulated to compute the position of the individual stations using multi-constellation PPP technique and the performance of the PPP filter is validated by comparing against reference solutions provided by IGS. Finally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s well as ellipoidal height of the receivers are computed from the GNSS measurements that span from Dec. 2014 through May 2019 and subsequently three baselines are formed for baseline analysis which extend to the north-eastern, down south and south-western directions of Jeju volcanic island, respectively. Results show that the ellipsoidal heights of the GNSS stations located in Jeju-shi and Seoguipo-shi are gradually decreased at the rate of 0.2 - 0.4 cm per year while the station near Sungsan-ilchulbong located in north-eastern region of Jeju volcanic island sinks down at the rate of more than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other stat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the elevated subsidence in the north-eastern area to volcanic activities of Jeju volcanic island.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14770/jgsk.2020.56.1.31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0.56.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