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 내 새송이 버섯과 상추의 혼합 재배 비율에 따른 CO2 농도변화 및 균형 분석
버섯은 배양과 생육과정을 거치면서 다량의 CO2를 배출하므로 식물을 생산하는 식물생산시스템에서 CO2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과 상추의 생육시기에 따른 CO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고, 혼합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두 작물의 재배 비율에 따른 CO2 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새송이 버섯과 상추 아시아 흑로메인 품종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각각 18°C, 22°C로 내부온도가 유지되는 밀폐형 아크릴 챔버(1.0m × 0.8m × 0.5m)에서 CO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였다. 상추는 PPF3...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pp. 628 - 635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
01.10.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14.13192 |
Cover
Summary: | 버섯은 배양과 생육과정을 거치면서 다량의 CO2를 배출하므로 식물을 생산하는 식물생산시스템에서 CO2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과 상추의 생육시기에 따른 CO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고, 혼합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두 작물의 재배 비율에 따른 CO2 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새송이 버섯과 상추 아시아 흑로메인 품종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각각 18°C, 22°C로 내부온도가 유지되는 밀폐형 아크릴 챔버(1.0m × 0.8m × 0.5m)에서 CO2 발생 속도와 흡수 속도를 측정하였다. 상추는 PPF340μmol・m-2・s-1의 광도와 EC 1.2dS・m-1의 양액에서 재배하였고, 다이아프램(diaphragm) 펌프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버섯 챔버와 상추 챔버 사이의 공기를 순환시켰다. 버섯의 CO2 발생 속도는 균 긁기 후 15일차까지 증가한 후 다시감소하였으며, 생육 온도가 높아질수록 CO2 발생 속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솎음 처리에 의해 버섯의 자실체 생체중 당CO2 발생 속도가 약 3.1배 증가하였다. CO2 균형 관점에서보면, 균 긁기 후 9, 12, 14일차 버섯 1병(950mL)의 CO2 발생 속도는, 정식 후 7, 10, 12일인 상추 3, 4.5, 5.5 개체 CO2흡수 속도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작물의 적합한 재배 비율의 설정을 통하여 밀폐형 혼합 식물생산시스템 내 CO2 농도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The large amount of CO2 emitted from mushrooms during incubation and developmental stages can be utilized inplant production systems as a CO2 sour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CO2 emission and absorption ratesof mushroom and lettuce, respectively, and to analyze the CO2 concentrations at various ratios of mushroom and lettuce ina closed production system. The CO2 emission rate of king oyster mushrooms (Pleurotus eryngii ( DC.) Quél) and CO2 absorptionrate of lettuces (Lactuca sativa L. cv. Asia Heuk Romaine) were measured by using two closed acryl chambers (1.0 m × 0.8m × 0.5 m) in which indoor temperatures were maintained at 18°C and 22°C, respectively. The lettuce was grown at a lightintensity of PPF 340 mol・m-2・s-1and with nutrient solution at EC 1.2 dS・m-1. The air was periodically circulated between thetwo chambers using a diaphragm pump. The CO2 emission rate of the mushroom increased until the 15thday after scratching(DAS) and then decreased. The rate also increased with increased indoor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2 emission rate perfresh weight of fruit body increased by about 3.1 times after thinning compared to before thinning. In terms of CO2 balance,the CO2 emission rates from a bottle (950 mL) of the mushroom at 9, 12, and 14 DAS were equivalent to those of 3, 4.5,and 5.5 lettuce plants at 7, 10, and 12 DAT (days after transplanting), respectively. This work shows that balance in CO2 concentrationcould be achieved using an appropriate ratio of the two crops in a closed production system. KCI Citation Count: 5 |
---|---|
Bibliography: | G704-000900.2014.32.5.012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14.131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