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소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양상과 중재적 보건관리 효과

목적 : 조선소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양상을 파악하고 근골격계 질환의 관리 프로그램 운영이 조선소 근로자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여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2년 8월 31일까지 한 조선업체의 전도, 협착, 추락, 낙하 및 충돌 등 외상을 제외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요양을 실시한 직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 근무기간, 부서, 직종, 부위, 원인 및 요양기간 등 근골격계 질환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 질병 부위는 요부질환이 68.4%였고, 요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pp. 468 - 477
Main Authors 문재동, 채홍재, 이성관, 이강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직업환경의학회 01.12.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조선소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양상을 파악하고 근골격계 질환의 관리 프로그램 운영이 조선소 근로자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여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2년 8월 31일까지 한 조선업체의 전도, 협착, 추락, 낙하 및 충돌 등 외상을 제외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요양을 실시한 직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 근무기간, 부서, 직종, 부위, 원인 및 요양기간 등 근골격계 질환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 질병 부위는 요부질환이 68.4%였고, 요부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이 31.6%였으며, 발생원인은 반복성이 34.8%였고, 비반복성 원인이 65.2%였다. 요부질환의 경우 비반복성 원인이 83.3%인 반면에 요부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은 74.0%가 반복성이었다. 도장업무의 경우 반복성 손상에 의한 요부 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의 빈도가 높았으며 중량물을 취급하는 직종의 경우 요통의 빈도가 타 업무에 비해 높았다. 요양자의 50%가 작업에 복귀하는데 걸린 시간은 요부질환은 32.0주, 요부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은 25.4주였으며, 원인이 비반복성인 경우가 반복성에 비해 작업 복귀에 걸린 기간이 짧았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작업 복귀에 걸린 기간이 길었다. 근골격계 질환 관리 프로그램 운영 후 전년도 동일기간에 비해 요양자의 재해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조선소 근로자의 요부질환은 비반복성 원인에 의해, 요부 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은 반복성 손상에 의하여 주로 발생되며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중재적 보건관리 프로그램의 운영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재해율 저감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여 주고 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 in shipyard workers. Methods : Information on work related absences, due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1 2000 and August, 31 2002. Age, duration of work, job type, anatomical site of disease, cause and duration of absence due to sickness were investigated. Results : From a total of 158 cases there were 108(68.4%) and 50(31.6%) cases of back, and other musculoskeletal complaints, respectively. 55(34.8%) of the cases were caused by repetitive trauma and 103(65.2%) were due to non-repetitive causes. 90(83.3%) of the back complaint cases were due to non-repetitive causes, but there was a repetitive cause of other musculoskeletal complaints in 37(74.0%) cases. Back complaints were higher in workers carrying heavy materials, but other musculoskeletal complaints were higher in painting workers. Half of workers after an absence due to sickness had returned to work within 32.0 weeks and 25.4 weeks, in the cases of back and other musculoskeletal complaints, respectively. After the application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musculoskeletal disease, the incidence rate of absence due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as reduced significantly. Conclusion : The introduction of a musculoskeletal intervention program reduced absences due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KCI Citation Count: 14
Bibliography:G704-000627.2002.14.4.007
ISSN:2052-4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