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 예측요인
목적 : 본 연구는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산업재해근로자의 직장복귀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 근로복지공단 36개 지사로부터 2001년 1월부터 3월까지 접수된 13,903명의 장해보상청구서 복사본을 수집하여 이들 중 직업병자 및 외국인 근로자를 제외한 13,385명을 대상으로 계통표본추출하여 3,65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3,658명의 장해보상청구서로부터 인구사회학적, 사업장 및 장해 특성, 그리고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산자료로부...
Saved in:
Published in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pp. 119 - 13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01.06.200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52-4374 |
Cover
Summary: | 목적 : 본 연구는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산업재해근로자의 직장복귀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 근로복지공단 36개 지사로부터 2001년 1월부터 3월까지 접수된 13,903명의 장해보상청구서 복사본을 수집하여 이들 중 직업병자 및 외국인 근로자를 제외한 13,385명을 대상으로 계통표본추출하여 3,65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3,658명의 장해보상청구서로부터 인구사회학적, 사업장 및 장해 특성, 그리고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산자료로부터 부양자수, 직장복귀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얻었으며 카이제곱 검정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직장복귀 예측요인을 알아보았다.
결과 : 직장에 복귀하지 못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은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의 예측요인은 여성, 고령자 그리고 근무기간 2-6년에 비하여 6개월 미만이었다. 사업장 특성의 예측요인은 사업장 규모가 200인 이상에 비하여 29인 미만인 경우, 사업종류가 제조업에 비하여 전기․가스․수도업이었다. 장해관련 특성에서의 예측요인은 상해부위가 손가락에 비하여 발인 경우, 상해종류는 다른 종류에 비하여 골절인 경우이었다. 그리고 장해결과 특성에서의 예측요인은 10-14등급인 경우에 비하여 1-4등급인 경우, 요양기간이 180일 이상인 경우이었다.
결론 : 여성이면서 연령이 많고 사업장 규모가 작은 경우 그리고 전기․가스․수도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직장복귀를 하지 못하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남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재활프로그램 계획 수립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될 것이다. Objectives :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useful in setting up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n evalu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predictive factors of workers' return to work after an occupational injury.
Methods : 13,903 records of registered occupationally injured cases identified to have received disability compensation in 1998 were collected from the 36 branch of Korean Labor Welfare Corporation(KLWC). Through simple systematic sampling, a total of 3,658 cases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s. Status of return to work, general characteristics, workplace characteristics,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disability outcome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from the KLWC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records(NHIC). For statistical analyses, chi-square test and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the SAS software package program.
Results : Negatively affecting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return to work were included the female gender, age of 50 years or older, 6 month or less of work duration, 1 or less family dependents, workplace with 200 or less employees, electricㆍgasㆍwaterwork companies, foot injuries compared to finger injuries, fall from elevation, high degree of disability claims(1-4 grade), and period of medical care more than 181 days.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oor rate return to work in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is particularly affected by female gender, older-aged employees, and workers employed by electricㆍgasㆍwaterwork companies. Also, it was more difficult to return to work for workers who received injuries from a fall from elevation and who had longer period of medical care(more than 181day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more efficient and systematic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be set up,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bove mentioned factors. KCI Citation Count: 25 |
---|---|
Bibliography: | G704-000627.2003.15.2.006 |
ISSN: | 2052-4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