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효과분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개선 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하여, 포괄적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인자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업장에 직접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건강검진을 시행한 1개 사업장에서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중등도 위험군,고위험군으로 선정된 64명(7.8%)을 대상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가자가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3개월 후 추적 관찰하고, 그 실천율을 확인하였다....
Saved in:
Published in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pp. 133 - 144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01.06.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Abstract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개선 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하여, 포괄적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인자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업장에 직접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건강검진을 시행한 1개 사업장에서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중등도 위험군,고위험군으로 선정된 64명(7.8%)을 대상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가자가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3개월 후 추적 관찰하고, 그 실천율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들 중 2011년 일반건강검진결과 추적이 가능했던 인원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여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인자의 프로그램 전∙후 변화 및대조군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 64명이 작성한 개선계획은 총 246개로 참가자 1명당 3.8개의 개선계획을 세웠고, 3개월 후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확인한 결과 총115개의 개선계획을 실천하고 있어 46.7%의 개선 실천율을 보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한 변화가 있었던 위험인자는 흡연율이 44.8%에서36.2%로 8.6% 감소하였고, 수축기 혈압(SBP)과 이완기 혈압(DBP)이 각각 140.0±9.4 mmHg에서 134.2±12.3 mmHg로 5.8 mmHg, 92.6±7.1 mmHg에서80.0±9.8 mmHg로 12.6 mmHg 감소하였다. 발병 위험인자 점수(Risk factor score) 또한 2.2±1.1에서1.9±1.0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또한 주 3회,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인원이 8.5%에서 24.5%로 16.0% 증가하였고, 수축기혈압(SBP)과 이완기 혈압(DBP)이 각각 140.8±12.7mmHg에서 135.5±15.6 mmHg로 5.3 mmHg, 88.0±8.6 mmHg에서 81.8±10.7 mmHg로 6.2 mmHg 감소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인자 변화량 비교에서는 실험군의 이완기 혈압(DBP) 변화량 -12.6±10.6 mmHg만이 대조군의 이완기 혈압(DBP) 변화량 -6.2±11.3 mmHg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5). 프로그램에 의한 발병위험도 변화는 좋은 방향으로 개선된 그룹과 변화가 없는 그룹, 나쁜 방향으로 변화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과 대조군을비교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87).
결론: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이 이완기 혈압(DBP)을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나, 발병위험도의 개선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보다 명확한 효과검증을 위해서는 추후지속적인 프로그램 진행과 장기효과 분석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in the workplace.
Methods: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f 817 workers in the workplace were assessed, and periodic health examination was conducted. Sixty-four workers (7.8%) were selected as a moderate-risk group and high risk group, and performed the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ve management.
Results: The sixty-four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made a total of 246 action plans, 3.8 action plans per person and 115 action plans were achieved after three months, so that 46.7% of action plans have been achieved.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the rate of smoking decreased from 36.2% to 8.6%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40.0±9.4 mmHg to 134.2±12.3 mmHg and from 92.6±7.1 mmHg to 80.0±9.8mmHg respectfully. In addition, risk factor score also decreased by 0.3, whereas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lso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Regular exercise increased from 8.5% to 16.0%.
Conclus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the need to continues implementing programs and analysis of the long-term effects are required. KCI Citation Count: 5 |
---|---|
AbstractList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개선 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하여, 포괄적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인자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업장에 직접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건강검진을 시행한 1개 사업장에서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중등도 위험군,고위험군으로 선정된 64명(7.8%)을 대상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가자가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3개월 후 추적 관찰하고, 그 실천율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들 중 2011년 일반건강검진결과 추적이 가능했던 인원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여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인자의 프로그램 전∙후 변화 및대조군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 64명이 작성한 개선계획은 총 246개로 참가자 1명당 3.8개의 개선계획을 세웠고, 3개월 후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확인한 결과 총115개의 개선계획을 실천하고 있어 46.7%의 개선 실천율을 보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한 변화가 있었던 위험인자는 흡연율이 44.8%에서36.2%로 8.6% 감소하였고, 수축기 혈압(SBP)과 이완기 혈압(DBP)이 각각 140.0±9.4 mmHg에서 134.2±12.3 mmHg로 5.8 mmHg, 92.6±7.1 mmHg에서80.0±9.8 mmHg로 12.6 mmHg 감소하였다. 발병 위험인자 점수(Risk factor score) 또한 2.2±1.1에서1.9±1.0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또한 주 3회,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인원이 8.5%에서 24.5%로 16.0% 증가하였고, 수축기혈압(SBP)과 이완기 혈압(DBP)이 각각 140.8±12.7mmHg에서 135.5±15.6 mmHg로 5.3 mmHg, 88.0±8.6 mmHg에서 81.8±10.7 mmHg로 6.2 mmHg 감소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인자 변화량 비교에서는 실험군의 이완기 혈압(DBP) 변화량 -12.6±10.6 mmHg만이 대조군의 이완기 혈압(DBP) 변화량 -6.2±11.3 mmHg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5). 프로그램에 의한 발병위험도 변화는 좋은 방향으로 개선된 그룹과 변화가 없는 그룹, 나쁜 방향으로 변화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과 대조군을비교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87).
결론: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이 이완기 혈압(DBP)을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나, 발병위험도의 개선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보다 명확한 효과검증을 위해서는 추후지속적인 프로그램 진행과 장기효과 분석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in the workplace.
Methods: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f 817 workers in the workplace were assessed, and periodic health examination was conducted. Sixty-four workers (7.8%) were selected as a moderate-risk group and high risk group, and performed the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ve management.
Results: The sixty-four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made a total of 246 action plans, 3.8 action plans per person and 115 action plans were achieved after three months, so that 46.7% of action plans have been achieved.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the rate of smoking decreased from 36.2% to 8.6%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40.0±9.4 mmHg to 134.2±12.3 mmHg and from 92.6±7.1 mmHg to 80.0±9.8mmHg respectfully. In addition, risk factor score also decreased by 0.3, whereas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lso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Regular exercise increased from 8.5% to 16.0%.
Conclus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the need to continues implementing programs and analysis of the long-term effects are required. KCI Citation Count: 5 |
Author | 조성용 송인웅 우극현 감신 권용준 김진석 윤성용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윤성용 organization: (순천향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우극현 organization: (순천향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감신 organization: (경북대학교) – sequence: 4 fullname: 김진석 organization: (순천향대학교) – sequence: 5 fullname: 조성용 organization: (순천향대학교) – sequence: 6 fullname: 권용준 organization: (순천향대학교) – sequence: 7 fullname: 송인웅 organization: (순천향대학교)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965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rjYmDJy89LZWLgNDIwNdI1MTY34WDgLS7OTDIwMjY0NDIxM-VkKHmzYceb6Wvezpiq8GrDnDctC17t2PB601SNAEf_EM03c2covJk94fWyNa-X7lF4s6DxzayVb6fOUXjd3vOoY-abbqC2jldbGl5tblF4s7zj7Uyg6hkdrzesBIoB9Si8ndLyeuGcV9t3vJ63QuHtrBWvNu95va3lTctcHgbWtMSc4lReKM3NoOHmGuLsoZtXlBafnZwZn5-YCabT8-Ozi-Idg0I8481MjS3NzYxJUAoAeA9y9g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ACYCR |
DatabaseName |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Medicine |
DocumentTitleAlternate | The Effect of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the Workplace |
EISSN | 2052-4374 |
EndPage | 144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653976 |
GroupedDBID | -A0 3V. 4.4 5-W 5VS 7X7 7XC 8C1 8FE 8FH 8FI 8FJ 8JR AAPBV ABUWG ABVAZ ACGFS ACRMQ ACYCR ADBBV ADINQ ADRAZ AFGXO AFKRA AFNRJ AFRAH AHBYD AHMBA AHSBF AHYZX ALMA_UNASSIGNED_HOLDINGS AMKLP AOIJS AQUVI ASPBG ATCPS AVWKF BAWUL BCNDV BENPR BFQNJ BHPHI BMC BPHCQ BVXVI C24 C6C CCPQU DIK EBS EF. EJD FYUFA GROUPED_DOAJ GX1 HCIFZ HYE IAO IHR IHW ITC KQ8 M0T M48 M~E OK1 PATMY PIMPY PQQKQ PROAC PYCSY RBZ RNS ROL RPM RSV SOJ UKHRP |
ID |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6539763 |
IngestDate | Tue Nov 21 21:47:01 EST 2023 |
IsPeerReviewed | true |
IsScholarly | true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6539763 |
Notes | G704-000627.2012.24.2.009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653976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2-06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2-06-0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6 year: 2012 text: 2012-06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PublicationYear | 2012 |
Publisher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Publisher_xml | – name: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SSID | ssib023112465 ssj0000911394 |
Score | 3.6479557 |
Snippet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개선 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하여, 포괄적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인자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업장에 직접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건강검진을 시행한 1개 사업장에서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도 평가를... |
SourceID | nrf |
SourceType | Open Website |
StartPage | 133 |
SubjectTerms | 예방의학 |
Title |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효과분석 |
UR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79655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2, 24(2), , pp.133-144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i9NAFB-2exAv4id-E8GBlVLJd2aOSRpdhVUPFfZWmja7SKGF0r14UihY0IMHi921K-tB3YU9FHfRHvav8Zik_4NvXtI2XRRXL2F4896b37yXMG-SNy-E3F5TfVH_ulqQuQoblAozC7AM-wXTt7BAlRbgcbGVR-byU_3hqrG6kDvMZC1ttP271ee_PVfyP14FGvhVnJL9B89OlQIB2uBfuIKH4XoiH1PPpY5MHSYa3KK2S70i5YxyI089W_RxV_QxndoyUpggeg51VGCC6PKJ_bhEVY4KhGgeWw7lyGWbqBMaBnVc7AM9TEEmm9ocxzNglLzgYhZlLqZPAATUyZwZKCAKBLpIrhANDWAlKi3sKwqZCYKE3RFoxShTuRRTHtl1MTFBUnCewGShMQC-R22WMAFMlo7n4FwcE8XQKryYjc5n1aSb2eLL4ttC5kBget4mm5GAkGEiE7XOzEJzLOiSFCefmEWfsSQukyeWk-d6OBogMdcx_OlrG5H_YmZf26BTXJRL_TRRoKS3DDOmhsdBVOoUpzfDRIqnhmTJK_UAFw5VNsRJOEvPLExKUm4kjXGUpObmfPnxY2HBXAHyevVZeb1ZrrfKsM16UBb1jC0zR3KaItJo769O1wjYLkDEmH45x2gIVlNN_BI812itZUK30llyJt1zSXbyAJ0jC_XmeXJqJfXhBdKOh6P4_f6435PC4SDu7ISjYfSttySejTvxdl-KP7yNvuxHn4-keOdlvLU37g2k6NWbn93N-DWIdcPDF-FBR4q_dsebwN3vRsM9oIGMNH7XiT4Nwh-j6OOuNN7aDQ-Oou-duLN9kSzd80rucgEA48T_aADtEllsNBvBZSIpJmzM1ZpR0XxFr8iBX-W1mlLT_aBWEdkQV8itv6q7egKea-T07G66ThbbrY3gBoTFbf8m-uEXdnumAQ |
link.rule.ids | 315,783,787 |
linkProvider | Geneva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0%B8%EC%97%AC%ED%98%95+%EA%B0%9C%EC%84%A0%EA%B8%B0%EB%B2%95%28PAOT%29%EC%9D%98+%EC%9B%90%EB%A6%AC%EB%A5%BC+%EC%A0%81%EC%9A%A9%ED%95%9C+%EB%87%8C%E2%88%99%EC%8B%AC%ED%98%88%EA%B4%80%EA%B3%84+%EC%A7%88%ED%99%98+%EC%98%88%EB%B0%A9%EA%B4%80%EB%A6%AC+%ED%94%84%EB%A1%9C%EA%B7%B8%EB%9E%A8+%ED%9A%A8%EA%B3%BC%EB%B6%84%EC%84%9D&rft.jtitle=Annals+of+occupational+and+environmental+medicine&rft.au=%EC%9C%A4%EC%84%B1%EC%9A%A9&rft.au=%EC%9A%B0%EA%B7%B9%ED%98%84&rft.au=%EA%B0%90%EC%8B%A0&rft.au=%EA%B9%80%EC%A7%84%EC%84%9D&rft.date=2012-06-01&rft.pub=%EB%8C%80%ED%95%9C%EC%A7%81%EC%97%85%ED%99%98%EA%B2%BD%EC%9D%98%ED%95%99%ED%9A%8C&rft.eissn=2052-4374&rft.spage=133&rft.epage=14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6539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