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효과분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개선 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하여, 포괄적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인자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업장에 직접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건강검진을 시행한 1개 사업장에서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중등도 위험군,고위험군으로 선정된 64명(7.8%)을 대상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가자가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3개월 후 추적 관찰하고, 그 실천율을 확인하였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pp. 133 - 144
Main Authors 윤성용, 우극현, 감신, 김진석, 조성용, 권용준, 송인웅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직업환경의학회 01.06.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개선 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하여, 포괄적인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인자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업장에 직접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건강검진을 시행한 1개 사업장에서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중등도 위험군,고위험군으로 선정된 64명(7.8%)을 대상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가자가 작성한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3개월 후 추적 관찰하고, 그 실천율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들 중 2011년 일반건강검진결과 추적이 가능했던 인원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여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 위험인자의 프로그램 전∙후 변화 및대조군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 64명이 작성한 개선계획은 총 246개로 참가자 1명당 3.8개의 개선계획을 세웠고, 3개월 후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확인한 결과 총115개의 개선계획을 실천하고 있어 46.7%의 개선 실천율을 보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한 변화가 있었던 위험인자는 흡연율이 44.8%에서36.2%로 8.6% 감소하였고, 수축기 혈압(SBP)과 이완기 혈압(DBP)이 각각 140.0±9.4 mmHg에서 134.2±12.3 mmHg로 5.8 mmHg, 92.6±7.1 mmHg에서80.0±9.8 mmHg로 12.6 mmHg 감소하였다. 발병 위험인자 점수(Risk factor score) 또한 2.2±1.1에서1.9±1.0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또한 주 3회,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인원이 8.5%에서 24.5%로 16.0% 증가하였고, 수축기혈압(SBP)과 이완기 혈압(DBP)이 각각 140.8±12.7mmHg에서 135.5±15.6 mmHg로 5.3 mmHg, 88.0±8.6 mmHg에서 81.8±10.7 mmHg로 6.2 mmHg 감소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인자 변화량 비교에서는 실험군의 이완기 혈압(DBP) 변화량 -12.6±10.6 mmHg만이 대조군의 이완기 혈압(DBP) 변화량 -6.2±11.3 mmHg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5). 프로그램에 의한 발병위험도 변화는 좋은 방향으로 개선된 그룹과 변화가 없는 그룹, 나쁜 방향으로 변화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군과 대조군을비교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87). 결론: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이 이완기 혈압(DBP)을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나, 발병위험도의 개선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보다 명확한 효과검증을 위해서는 추후지속적인 프로그램 진행과 장기효과 분석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in the workplace. Methods: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f 817 workers in the workplace were assessed, and periodic health examination was conducted. Sixty-four workers (7.8%) were selected as a moderate-risk group and high risk group, and performed the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ve management. Results: The sixty-four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made a total of 246 action plans, 3.8 action plans per person and 115 action plans were achieved after three months, so that 46.7% of action plans have been achieved.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the rate of smoking decreased from 36.2% to 8.6%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40.0±9.4 mmHg to 134.2±12.3 mmHg and from 92.6±7.1 mmHg to 80.0±9.8mmHg respectfully. In addition, risk factor score also decreased by 0.3, whereas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lso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Regular exercise increased from 8.5% to 16.0%. Conclus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the need to continues implementing programs and analysis of the long-term effects are required. KCI Citation Count: 5
Bibliography:G704-000627.2012.24.2.009
ISSN:2052-4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