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록싸리 종내 분류군과 잡종의 분류학적 연구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내에 많은 종내분류군들 및 근연분류군과의 잡종들이 기록되었지만,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이견이 있다. 본 연구는 조록싸리와 근연분류군간 잡종인 지리산싸리(L. chiisanensis), 진도싸리(L. patentibicolor) 및 조록싸리의 종내분류군인 털조록싸리(var. tomentella), 늦싸리(var. elongata), 삼색싸리(var. tricolor)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외부형태를 관찰하고 microsatellite를 이용하여 유전적 구조를...
Saved in:
Published in | Sigmul bunryu hag-hoej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pp. 300 - 318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물분류학회
01.12.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8318 2466-1546 |
Cover
Loading…
Summary: |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내에 많은 종내분류군들 및 근연분류군과의 잡종들이 기록되었지만,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이견이 있다. 본 연구는 조록싸리와 근연분류군간 잡종인 지리산싸리(L. chiisanensis), 진도싸리(L. patentibicolor) 및 조록싸리의 종내분류군인 털조록싸리(var. tomentella), 늦싸리(var. elongata), 삼색싸리(var. tricolor)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외부형태를 관찰하고 microsatellite를 이용하여 유전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털조록싸리와 늦싸리의 꽃과 잎의 형태는 조록싸리의 변이폭에 속했고, 유전적으로도 두 분류군이 조록싸리와 같이 묶였다. 삼색싸리는 꽃의 구조와 색에서 근연종인 L. buergeri와 유사한 반면 소엽 정단부와 소포엽의 형태는 조록싸리와 가까웠다. 유전적 구조에서도 삼색싸리의 개체들은 조록싸리와 L. buergeri의 계통이 혼합된 형태를 보이거나(K = 3), 독립되었다 (K = 5). 잡종들의 경우, 지리산싸리의 꽃과 잎의 형태는 조록싸리와 구별되지 않는 반면, 진도싸리의 꽃 형질은 싸리(L. bicolor)의 변이폭에 속했는데, 유전적 계통도 각각 조록싸리와 싸리로 지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저자들은 털조록싸리와 늦싸리를 조록싸리의 품종, f. friebeana (Schindl.) D. P. Jin, J. W. Park & B. H. Choi로 처리하였는데, 이는 L. friebeana가 var. tomentella 보다 먼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삼색싸 리는 독립종, L. tricolor (Nakai) D. P. Jin, J. W. Park & B. H. Choi 로 처리하였고, 지리산싸리는 조록싸리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한편 진도싸리는 싸리의 이명으로 판단된다. Many intra-specific taxa within Lespedeza maximowiczii and hybrids with related species have been described, but taxonomic verification remains controversial.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traits of hybrids (L. chiisanensis and L. patentibicolor) and intra-specific taxa (var. tomentella, elongata, and tricolor) and analyzed their genetic structures using microsatellite loci. Flower and leaflet shapes in var. tomentella and elongata were within the range of variation of those in var. maximowiczii, and individuals in the two former varieties were grouped into var. maximowiczii. 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was similar to L. buergeri in terms of the structure and flower color, whereas the leaflet and bracteole shapes of var. tricolor were similar to those of var. maximowiczii. Based on the genetic structure (K = 3), var. tricolor had a mixed lineage with L. maximowiczii and L. buergeri. In addition, these formed a distinct lineage at K = 5. For two hybrids, the flower and leaflet structure in L. chiisanensis did not differ from those in L. maximowiczii, whereas the flowers of L. patentibicolor were within the range of variation of L. bicolor. In addition, L. chiisanensis and L. patentibicolor were assigned to L. maximowiczii and L. bicolor, respectively, based on the genetic structure. We treated var. tomentella and elongata as a forma, f. friebeana, because L. friebeana preceded var. tomentella, whereas var. tricolor was treated as a distinct species, L. tricolor. Lespedeza chiisanensis was recognized as a synonym of L. maximowiczii. Lespedeza patentibicolor was considered to be L. bicolor.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8318 2466-15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