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치료 지원사업 및 의사의 금연치료에 대한 만족도와 금연 성공과의 관련성

연구배경: 한국은 2005년 처음으로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2015년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업으로 금연 지원사업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금연 지원사업과 금연 치료의 만족도와 그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1,500명의 참가자 중, 2016년 금연 사업 만족도 조사에 모두 응답한 1,418명이 포함되었다. 금연 성공 여부는 설문 시점 1주일 이내의 흡연 여부로 판단하였다. 카이 제곱 검정으로 금연치료 지원사업과 의사의 금연치료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고,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만족도과 관련된 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금연학회지, 10(2) pp. 62 - 71
Main Authors 이찬민, 조자미, 김경진, 오은정, 신진영, 최재경, 권혁중, 조민우, 백유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금연학회 01.12.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0828
2586-0348
DOI10.25055/JKSRNT.2019.10.2.6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한국은 2005년 처음으로 보건소 금연클리닉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2015년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업으로 금연 지원사업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금연 지원사업과 금연 치료의 만족도와 그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1,500명의 참가자 중, 2016년 금연 사업 만족도 조사에 모두 응답한 1,418명이 포함되었다. 금연 성공 여부는 설문 시점 1주일 이내의 흡연 여부로 판단하였다. 카이 제곱 검정으로 금연치료 지원사업과 의사의 금연치료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고,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만족도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1,418명 중 774명은 금연에 실패하였고, 644명은 금연에 성공하였다. 금연 성공군에서 금연치료 지원사업과 의사의 금연치료 만족도가 뚜렷하게 높았다.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금연의 성공은 금연 지원사업과 의사의 금연치료 만족도를 상승시키는 독립 변수였고, 그 외 성별과 고혈압 여부 또한 만족도 상승과 관련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의료진은 금연지원 사업 및 금연 치료에 대한 만족도 제고를 위해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 금연치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Background: Smoking cessation clinic service is provided in public health center since 2005 in Korea, and it has been included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ince 2015. This cross-sectional study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differences in satisfaction rates between smokers who wer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in quitting smoking. Methods: A satisfaction survey was administered to 1,500 participants in 2016; of these, 1,418 answered all the satisfaction items. The success and failure of smoking cessation were defined as whether the individual had smoked during the week before taking the questionnaire. Chi-square test was used to evaluate differences in the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the smoking cessation support services and with the treatment received from physician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rate. Results: Of the 1,418 respondents, 644 successfully quit smoking and 774 failed to quit. The satisfaction rates for the support services and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ccess group.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was an independent factor that increased satisfaction with both the support services (odds ratio, 3.70; 95% confidence interval, 2.45–5.59) and treatment by the physician (odds ratio, 2.06; 95% confidence interval, 1.44–2.96). Conclusion: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was an independent factor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the support service and treatment by the physician. Satisfaction rates differed with age, sex, and hypertension. To increase satisfaction rates, medical staff should provide targeted treatments considering each individual’s characteristics. KCI Citation Count: 5
Bibliography:http://www.jksrnt.org/journal/view.html?uid=146&&vmd=Full
ISSN:2093-0828
2586-0348
DOI:10.25055/JKSRNT.2019.10.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