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 남성에서 자가 흡연 상태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2015-2016

연구배경: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량의 흡연만으로도 폐암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저강도 흡연 (하루 1개비 미만, 1-10개비 흡연)과 대사 증후군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방법: 2015-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 만 19세 이상 남성 4,13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흡연력에 따라 비흡연자, 과거흡연자, 간헐적 흡연자(하루 1개비 미만), 소량흡연자(하루 1-10개비), 중등도 흡연자(하루 11-19개비), 과다 흡연자(하루 20개비 이상)로 분류하였다. 흡연수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금연학회지, 10(2) pp. 89 - 98
Main Authors 박민지, 민세란, 조유진, 김선우, 권혁태, 조희경, 오범조, 오승원, 최호천, 이철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금연학회 01.12.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0828
2586-0348
DOI10.25055/JKSRNT.2019.10.2.8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량의 흡연만으로도 폐암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저강도 흡연 (하루 1개비 미만, 1-10개비 흡연)과 대사 증후군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방법: 2015-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 만 19세 이상 남성 4,13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흡연력에 따라 비흡연자, 과거흡연자, 간헐적 흡연자(하루 1개비 미만), 소량흡연자(하루 1-10개비), 중등도 흡연자(하루 11-19개비), 과다 흡연자(하루 20개비 이상)로 분류하였다. 흡연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의 각 요소와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공변수로 연령, 체질량지수, 경제수입, 문제음주여부, 신체활동, 이환력을 보정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의 위험은 현재 흡연량과 용량 반응적 관계를 보였고 이는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중 고중성지방혈증, 복부비만, 저HDL콜레스테롤혈증에도 해당하였으나 높은 혈압과 공복혈당장애에는 해당하지 않았다. 대사증후군이 증가하는 흡연량의 정도는 각 구성요소마다 달랐고, 고중성지방혈증은 간헐적 흡연부터,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은 소량흡연부터, 대사증후군은 중등도 흡연부터, 복부비만은 과다 흡연부터 유의미하게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흡연갑년과 대사증후군에서도 용량 반응적 관계를 확인하였고, 누적흡연량 12갑년 초과시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였다. 결론: 대사증후군은 현재흡연량과 누적흡연량이 많을수록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중 고중성지방혈증과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은 저강도 흡연에서도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흡연과 높은 혈압, 공복혈당장애와의 연관성은 밝히지 못하였다. Background: Even a small smoking amount can increase the risk of lu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he association between low-intensity smoking [<1/1–10 cigarettes per day (CPD)] and metabolic syndrome (MS) remains unknown. Methods: Overall, 4,130 men aged >18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2015-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divided by smoking history into never smoker, former smoker, intermittent smoker (<1 CPD), light smoker (1–10 CPD), moderate smoker (11–19 CPD), and heavy smoker (≥20 CPD).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urrent smoking amount, cigarette smoking duration, and pack-year and MS and its components.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status and MS was evaluated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mass index, house income, marital status,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and comorbidity. Results: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a dose–response association with smoking intensity and abdominal obesity, low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high triglycerides, and MS but not with high blood pressure and high fasting glucose. The smoking amount that increased the risk was different for each component but significant for intermittent smoking (high triglycerides), light smoking (low HDL cholesterol), moderate smoking (MS), and heavy smoking (abdominal obesity). Similar dose–response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pack-year and MS. Conclusions: Smoking has a dose–response association with MS but this association is inconsistent among its components. The risk of high triglycerides and low HDL cholesterol may increase even with low-intensity smoking, but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high blood pressure and glucose is not definite.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www.jksrnt.org/journal/view.html?uid=149&&vmd=Full
ISSN:2093-0828
2586-0348
DOI:10.25055/JKSRNT.2019.10.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