궐련 단독사용자와 비교한 이중사용자의 금연 행동: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연구배경: 흡연자들은 금연을 목적으로 전자담배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자담배 사용의 금연 효과에 대해서 논쟁의 여지가 많다. 또한 전자담배를 선택하는 흡연자들의 특성이 최근 연구된 바가 있지만 이들이 실제로 선택하는 금연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흡연자 중 전자담배 사용이 금연 행동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방법: 6기, 7기(2013-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5,179명의 흡연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흡연자 중 궐련만 사용하는 군과 최근 1개월 이내 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금연학회지, 10(2) pp. 80 - 88
Main Authors 함상근, 이언숙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금연학회 01.12.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0828
2586-0348
DOI10.25055/JKSRNT.2019.10.2.8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흡연자들은 금연을 목적으로 전자담배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자담배 사용의 금연 효과에 대해서 논쟁의 여지가 많다. 또한 전자담배를 선택하는 흡연자들의 특성이 최근 연구된 바가 있지만 이들이 실제로 선택하는 금연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흡연자 중 전자담배 사용이 금연 행동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방법: 6기, 7기(2013-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5,179명의 흡연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흡연자 중 궐련만 사용하는 군과 최근 1개월 이내 전자담배를 같이 사용한 군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 소득 등 인구학적 요인과 함께 흡연량, 규칙적 운동 여부, 흡연 시작 연령 등 생활습관 등을 전자담배 사용에 대한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지난 1년간 금연 시도, 금연 계획, 최근 니코틴 제재 사용, 금연 시도 및 금연을 목적으로 시도한 방법 등 금연행동에서 두 군에서 차이가 있었는지 평가하였다. 연관 요인들을 보정하여 전자담배 사용이 흡연자의 금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은 STATA 11.0 (Stata corp.)을 이용하였다. 결과: 40세 미만의 젊은 연령과 20개비 초과의 흡연량, 금연 계획이 있는 경우 전자담배 사용이 많았고, 지난 5일간 니코틴 제재 사용 경험도 전자담배 사용군에서 더 많았다.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경우 지난 1년간 금연 시도가 더 많았지만(교차비 1.600,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3-2.301), 금연클리닉, 금연전화 등 근거 있는 금연 치료를 더 많이 선택하지 않았고, 약국에서 니코틴 패치 구입을 더 많이 하였다(교차비 2.185, 95% CI: 1.173-4.070). 결론: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흡연자는 사용하지 않는 흡연자에 비해 니코틴 의존도가 높고 금연 시도를 더 많이 하지만 근거 있는 금연 치료법을 선택하지 않았다.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흡연자들의 금연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추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Some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that electronic cigarette (e-cigarette) use is helpful in quitting smoking. However, this role of e-cigarettes remains uncertain because several current smokers use e-cigarettes as an alternative to tobacco smoking.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the quitting behaviors of dual users and cigarette-only smokers. Methods: Data of 5,179 current smokers from the sixth and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13–2017) were analyzed. Current smokers were divided into dual users and cigarette-only smokers based on e-cigarette use in the past month. Factors influencing e-cigarette use were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quitting behaviors between both groups were assess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TATA 11.0. Results: Young age (<40 years) and smoking amount (>20 cigarettes/day) were associated with e-cigarette use.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NRT) use in the past 5 days was associated with e-cigarette use [odds ratio (OR), 5.328; 95% confidence interval (CI), 2.377-11.941]. Dual users demonstrated higher quit attempts in the past year (OR, 1.600; 95% CI, 1.113-2.30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ual users and cigarette-only smokers in choosing an evidence-based quit method such as using a quit line or visiting a smoking cessation clinic. However, dual use was associated with use of NRT over the counter NRT use. Conclusion: There are no differences in employing an evidence-based smoking cessation method between dual users and cigarette-only smokers, despite the higher quit attempts in dual users. Further evaluation of the effect of NRT use as a quitting method on dual users is warranted.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http://www.jksrnt.org/journal/view.html?uid=148&&vmd=Full
ISSN:2093-0828
2586-0348
DOI:10.25055/JKSRNT.2019.1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