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담배 사용 과거력이 없는 한국 성인에서 전자담배 사용의 연관 요인
연구배경: 일반담배 사용 과거력이 없는 한국 성인에서 전자담배 사용에 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방법: 지역사회건강조사 2014-2017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일반담배 사용 과거력이 없는 사람들에서 전자담배와 사용 경험과의 연관 요인을 분석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일반담배 사용 과거력이 없는 사람들에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행동 요인을 보정한 전자담배의 사용 경험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일반담배 사용 과거력이 없는 579,815명의 대상자 중 971명(0.2%)에서 전자담...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금연학회지, 10(2) pp. 72 - 79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금연학회
01.12.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0828 2586-0348 |
DOI | 10.25055/JKSRNT.2019.10.2.72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일반담배 사용 과거력이 없는 한국 성인에서 전자담배 사용에 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방법: 지역사회건강조사 2014-2017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일반담배 사용 과거력이 없는 사람들에서 전자담배와 사용 경험과의 연관 요인을 분석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일반담배 사용 과거력이 없는 사람들에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행동 요인을 보정한 전자담배의 사용 경험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일반담배 사용 과거력이 없는 579,815명의 대상자 중 971명(0.2%)에서 전자담배 사용 경험이 있었다. 전자담배 사용 경험이 있는 사람의 교차비는 낮은 연령(65세 이상과 비교했을 때 19-34세 OR 9.53, 95% CI 4.11-22.12), 과음을 하는 경우 (OR 1.94, 95% CI 1.54-2.46), 우울 증상이 있는 경우(OR 2.36, 95% CI 1.62-3.44), 낮은 주관적 건강 수준(OR 1.39, 95% CI 1.10-1.75), 당뇨병이 있을 때(OR 2.27, 95% CI 1.36-3.80) 높았다. 반면, 여성(OR 0.11, 95% CI 0.08-0.14), 낮은 신체 활동 수준(OR 0.73, 95% CI 0.56-0.95), 고혈압이 있을 때(OR 0.59, 95% CI 0.39-0.89) 낮았다.
결론: 일반담배를 사용한 적이 없는 사람들에서 전자담배 사용 경험은 많지 않다. 일반담배를 사용한 적이 없는 사람들에서 전자담배 사용 경험은 낮은 연령, 남성, 낮은 건강 수준과 좋지 않은 건강 습관을 지닌 사람들에서 더 많다. 이것은 담배 규제 정책을 수립하는데 고려되어야 한다. Background: Few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electronic cigarette (e-cigarette) use among Korean adults with no history of combustible cigarette (CC) use.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2014–2017) to analyze factors associated with e-cigarette ever use among adults with no history of CC us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 use of e-cigarettes and never use of CCs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factors.
Results: Among 579,815 participants with never use of CCs, 971 (0.2%) had ever used e-cigarettes. The odds ratios (ORs) for ever use of e-cigarettes were higher in individuals at a younger age [OR for age 19–34 years was 9.53 than that for age ≥ 65 years, 95% confidence interval (CI) 4.11–22.12], heavy alcohol consumers (OR 1.94, 95% CI 1.54–2.46), those with depressive symptoms (OR 2.36, 95% CI 1.62–3.44), those with poor general health (OR 1.39, 95% CI 1.10–1.75), and those with diabetes (OR 2.27, 95% CI 1.36–3.80). However, the ORs for ever use of e-cigarettes were lower in females (OR 0.11, 95% CI 0.08–0.14), those with low physical activity (OR 0.73, 95% CI 0.56–0.95), and those with hypertension (OR 0.59, 95% CI 0.39–0.89).
Conclusions: Ever use of e-cigarette was not common among never users of CCs. However, it was more prevalent in younger individuals, males, and those with poor health and health habits. These factors must be considered while establishing tobacco control policies.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http://www.jksrnt.org/journal/view.html?uid=147&&vmd=Full |
ISSN: | 2093-0828 2586-0348 |
DOI: | 10.25055/JKSRNT.2019.10.2.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