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성에 기반 한 비극 연구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 개념은 추상 개념으로 객관적 실재는 아니다. 보편적인 존재는 이념이나 명칭으로만 존재할 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개별적 존재다. 본질은 개별의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보편성은 개별성 안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개별자 속에 보편자가 내재되어 있다는 이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관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예술이란 개별자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하는 보편자를 그려내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비극 또한 개별적인 행동이 아닌 보편적인 행동을 모방하는 예술이다. 청중은 보편성 속에서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외국문학연구, 0(76) pp. 53 - 70
Main Author 이선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외국문학연구소 01.11.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 개념은 추상 개념으로 객관적 실재는 아니다. 보편적인 존재는 이념이나 명칭으로만 존재할 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개별적 존재다. 본질은 개별의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보편성은 개별성 안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개별자 속에 보편자가 내재되어 있다는 이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관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예술이란 개별자 속에 공통적으로 내재하는 보편자를 그려내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비극 또한 개별적인 행동이 아닌 보편적인 행동을 모방하는 예술이다. 청중은 보편성 속에서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쾌를 느낄 수 있다. 보편적인 행동을 미메시스하는 비극에서 개별자로부터 보편자를 발굴하고 보편적 인간 행동을 미메시스할 때 쾌는 극대화 될 것이다. 그렇다면 비극은 어떻게 보편자를 찾아낼 것인가? 첫째, 플롯을 통해서다. 둘째, 인물의 보편성을 통해서다. 셋째, 사건의 보편성을 통해서다. 이렇듯 『시학』에서 언급된 보편성 추구는 비극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두려움과 연민으로 촉발되는 카타르시스는 다름 아닌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Universality is the main theme of Aristotle's Poetics. According to him, the universal exists only as an idea or a name. In contrast, essence is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the individual and this universality is already immanent in individuality. Thus tragedy should be an imitation of universal behavior, not individual behavior. At this moment, the audience can experience catharsis and ultimately feel pleasure. To maximize pleasure, how can we find the universal in tragedy? First, it is through the plot. Second, it is through the universality of the character. Third, it is through the universality of events. The audience experiences empathy and catharsis when individual events connote archetype and universality as the play progresse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444X
2671-8308
DOI:10.22344/fls.2019.7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