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도와 사량도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과 층서

남해도와 사량도 화산암류는 암층서적으로 하부 안산암질암류, 하부 유문암질암류, 상부 안산암질암류와 상부 유문암질암류로 구분된다. 이들 중에 하부 유문암질암류의 봉화산응회암과 상부 유문암질암류의 사량도응회암에 대한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함으로서 분출시기와 층서관계를 확실하게 하였다. 연대측정 결과에 의하면 봉화산응회암에서 86.69±0.78 Ma (n=10, 2σ)에 집중되는 일치곡선 연대를 나타내고, 사량도응회암에서 각각 69.72±0.69 Ma (n=12, 2σ)와 69.16±0.65 Ma (n=12, 2σ)...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5(5) pp. 621 - 632
Main Authors 이소진, 황상구, 송교영, 이기욱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10.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남해도와 사량도 화산암류는 암층서적으로 하부 안산암질암류, 하부 유문암질암류, 상부 안산암질암류와 상부 유문암질암류로 구분된다. 이들 중에 하부 유문암질암류의 봉화산응회암과 상부 유문암질암류의 사량도응회암에 대한 SHRIMP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함으로서 분출시기와 층서관계를 확실하게 하였다. 연대측정 결과에 의하면 봉화산응회암에서 86.69±0.78 Ma (n=10, 2σ)에 집중되는 일치곡선 연대를 나타내고, 사량도응회암에서 각각 69.72±0.69 Ma (n=12, 2σ)와 69.16±0.65 Ma (n=12, 2σ)에 집중되는 일치곡선 연대를 나타낸다. 이들 연대는 백악기 후기의 활발했던 호화산작용의 시기임을 의미하고 남해도와 사량도에서 일어났던 각응회암의 분출시기를 지시하며, 운문사아층군과 사량아층군의 층서대비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이 층서는 경상분지에서 백악기 후엽 유천층군의 다른 화산단위와 간접적인 층서대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volcanic rocks in Namhae and Saryang islands, are lithostratigraphically classified as lower andesitic rocks and rhyolitic rocks, and upper andesitic rocks and rhyolitic rocks. We ensured their eruption timings and stratigraphic relationships, based on SHRIMP U-Pb dating for zircons from Bonghwasan Tuff of the lower rhyolitic rocks and Saryangdo Tuff of the upper rhyolitic rocks. The results shows that the concordia age of Bonghwasan Tuff is 86.69±0.78 Ma (n=10, 2σ), and those of the Saryangdo Tuff are 69.72±0.69 Ma (n=12, 2σ) and 69.16±0.65 Ma (n=12, 2σ). These ages suggest the period of active arc volcanism during the Late Cretaceous, and indicate the eruption timings of each tuff units of the Namhae and the Saryang islands, and enable them to make a stratigraphic correlation to Unmunsa and Saryang subgroups.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e subgroups can make an indirect stratigraphic correlation to different volcanic units of the Late Cretaceous Yucheon Group in the Gyeongsang Basin.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http://dx.doi.org/10.14770/jgsk.2019.55.5.621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9.55.5.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