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스트레스, 노화불안이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와 노화불안이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중년기 남녀 226명을 대상으로 중년의 위기감, 회복탄력성, 생활스트레스, 노화불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해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붓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의 생활스트레스 및 노화불안이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회복탄력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
Saved in:
Published in | 사회과학연구논총 , 35(2) pp. 99 - 122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이화사회과학원
01.10.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8987 2671-9029 |
DOI | 10.16935/ejss.2019.35.2.004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와 노화불안이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중년기 남녀 226명을 대상으로 중년의 위기감, 회복탄력성, 생활스트레스, 노화불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해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붓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기의 생활스트레스 및 노화불안이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회복탄력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aging anxiety and the Mid-life cri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26 middle aged people who reside in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life stress and aging anxiety on mid-life crisis was partially mediated by resilien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975-8987 2671-9029 |
DOI: | 10.16935/ejss.2019.35.2.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