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사 기반 VR 360 영상의 연출 특성에 따른 사례분석 연구

평면 스크린에 재생된 영상들은 시공간의 연속성에 대해 제한을 받아 왔으나, 360도 화면의 가상현실 스크린은 형태의 변화로 인해 환경적 몰임감을 주어지게 한다. 스크린의 형태 변화는 새롭게 정의되는 영상 언어들이 생산되며 이에 적합한 연출 특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360도의 스크린 형태에 따른 영상 공간을 이루는 영상 내적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다른 방식을 추구하게 되는데 이를 가상현실 영상 연출법으로 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실사 기반의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개념과 제작방법을 살펴보고 관련 사례들을 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8(2) pp. 223 - 234
Main Authors 김동조, 이상화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6.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19.06.0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평면 스크린에 재생된 영상들은 시공간의 연속성에 대해 제한을 받아 왔으나, 360도 화면의 가상현실 스크린은 형태의 변화로 인해 환경적 몰임감을 주어지게 한다. 스크린의 형태 변화는 새롭게 정의되는 영상 언어들이 생산되며 이에 적합한 연출 특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360도의 스크린 형태에 따른 영상 공간을 이루는 영상 내적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다른 방식을 추구하게 되는데 이를 가상현실 영상 연출법으로 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실사 기반의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개념과 제작방법을 살펴보고 관련 사례들을 분석하여 영상 연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Images reproduced on flat screens have been limited in terms of time and space continuity, but virtual reality screens on 360-degree screen give an environmental a sense immersion as a result of changes in form. The changes in the shape of the screen will produce newly defined media languages, and research on appropriate rendering characteristics is need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nternal elements of the image space forming the 360-degree screen shape pursue a different approach in a comprehensive manner, and the research for establishing it as a virtual reality image directing method should be preceded.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and production methods of virtual reality images based on due diligence and tries to by analysis the relevant cases to derive the image directing characteristics.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031_260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19.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