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 바른 인식을 위한 외국인 대상 독도 문화교육 방안
이 글은 외국인 대상 한국문화교육의 내용으로서 ‘독도’ 항목을 중심으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문화교육을 통한 한국 관련 국제적 바른 인식을 제고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역사·영토 이슈와 같은 민감한 현안일수록 민족주의적 정서에 호소함으로써 상대방을 자극하여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키는 것보다는 문화인류학적으로 접근한 문화교육의 방식이 훨씬 더 바람직하며 진정한 역내 갈등 해결을 위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국제적 바른 인식 확산을 위해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은 최우선...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학, 37(3) pp. 172 - 20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학중앙연구원
01.09.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671-8197 2733-936X |
DOI | 10.25024/ksq.37.3.201409.172 |
Cover
Summary: | 이 글은 외국인 대상 한국문화교육의 내용으로서 ‘독도’ 항목을 중심으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문화교육을 통한 한국 관련 국제적 바른 인식을 제고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역사·영토 이슈와 같은 민감한 현안일수록 민족주의적 정서에 호소함으로써 상대방을 자극하여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키는 것보다는 문화인류학적으로 접근한 문화교육의 방식이 훨씬 더 바람직하며 진정한 역내 갈등 해결을 위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국제적 바른 인식 확산을 위해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은 최우선시되어야 하며, 향후 이들의 영향력을 감안하면 기여도 또한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제Ⅱ장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기존 한국문화교육 교재에서의 독도 기술 실태를 분석하고 독도영유권의 본질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제Ⅲ장에서는 지식‒기능‒태도의 범주에 의거하여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독도 문화교육의 내용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Ⅳ장에서는 독도 문화교육의 실제 방법과 관련하여 교수학습 모형 및 과정안을 예시적으로 제시하였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약 30종의 기존 한국문화 교재들 중 절반 이상이 생활문화, 전통문화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국 관련 국제사회의 바른 인식 제고가 절실히 필요한 강역(영토)이나 역사 등과 같은 주제들은 아예 반영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독도 주제를 조금이라도 다루고 있는 교재는 3종에 불과하였는데,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문화 교재 1종을 제외한다면 순수 외국인을 대상으로 독도를 다룬 한국문화 교재는 2종에 불과한 셈이다. 그리고 이마저도 독도 관련 기술이 자칫 한국의 대외적 입장을 훼손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향후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재의 기술 내용과 관련하여 해당 주제별 전문가의 심도 있는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독도 문화교육의 내용체계는 지식‒기능‒태도의 범주에 의거하여 초·중·고급별로 브루너의 나선형 과정을 적용하여 구성해보았다. ‘지식’ 문화교육 내용으로서 독도의 지명, 위치, 지형 등을 예시로 초급·중급·고급별 문화교육 내용을 구분하였다. ‘기능’의 문화교육 단계와 관련해서는 듣기·말하기·읽기·쓰기와 관련된 문화교육 활동으로 구성하고, 태도와 관련해서는 자연(생태환경)적 가치, 경제적 가치, 안보적 가치 등을 예시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독도 문화교육의 방법과 관련해서는 ‘가치학습탐구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예시로 ‘자료 탐구하기‒가치 확인하기‒가치 평가하기‒가치 재구성하기’ 등으로 구분하여 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의 문화교육 방안을 활용하여 외국인 해당 국가들의 독도와 유사한 도서영유권 경험 또는 식민지 역사 경험 여부 등을 감안한 대상 국가별 맞춤형 문화교육 방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처럼 식민 침탈의 역사를 경험한 국가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식민 침탈의 역사문화를 통한 독도 문화교육을 실시하고, 독도와 관련된 국가 및 도서영유권 분쟁의 경험이 없는 국가의 경우에는 독도가 한국인의 삶의 터전임을 강조하는 문화교육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향후 주제의 민감성 등을 감안하여 보다 이론적으로 검증되고 체계화된 문화교육 방안을 통해 국제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accurate perceptions of Korea to be formed while teaching Korean culture to nonnativ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study’s scope thus focuses on Dokdo contents as a territorial cultural symbol of Korea, which was singled out of one hundred Korean cultural symbols announced in 2006 by then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Korea. The sovereignty of Dokdo and the naming of the East Sea have been targets of controversy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study assumes an inverse rationale in which covering such topics can contribute to achie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and communication with different cultures, thereby preventing cultural clashes from arising with nonnativ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pporting them to form accurate perceptions of Korea. Therefore, this study places its foremost efforts in identifying content to be taught through culture education and in devis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hat best fit the aforementioned rationale.
This study considers Dokdo issue as a subjec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terms of the categories of ‘knowledge‒function‒attitude’ as well as Jerome Bruner’s idea of a spiral curriculum, which takes a hierarchical approach to learning by first acquiring basic knowledge and then gradually adding levels of sophistication to such knowledge. What should be taught was derived from needs analysis for Korean cultural symbols as well as contet analysis of twenty‒four different textbooks on Korean culture for non‒Koreans.
The study suggests a course plan for the topic ‘Dokdo’ based on the value inquiry model. The value of utilizing Dokdo content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is expected to become more essential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G704-000772.2014.37.3.004 |
ISSN: | 2671-8197 2733-936X |
DOI: | 10.25024/ksq.37.3.201409.1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