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홈에서의 재난 예방을 위한 사운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스마트 홈 시스템은 거주자들의 편안함, 안전 및 즐거움을 증진 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 홈 내에서 거주하는 거주자의 안전에 대한 상태는 스마트 홈 내의 감지 센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시스템 기반의 오디오 센서가 인식함으로써 거주자의 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의 다양한 소리들을 사용자 경험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도출 및 분류하였으며, 분류 결과를 방재 서비스 디자인 연구 영역에서 정의하는 재난 대응 단계에 대응시켰다. 재난의 단계와 소리의 발생 원인에 따른 소리의 분류는 스마트 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8(3) pp. 245 - 252
Main Authors 신정훈, 남궁기찬, 오원준, 반영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9.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19.09.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스마트 홈 시스템은 거주자들의 편안함, 안전 및 즐거움을 증진 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 홈 내에서 거주하는 거주자의 안전에 대한 상태는 스마트 홈 내의 감지 센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시스템 기반의 오디오 센서가 인식함으로써 거주자의 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의 다양한 소리들을 사용자 경험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도출 및 분류하였으며, 분류 결과를 방재 서비스 디자인 연구 영역에서 정의하는 재난 대응 단계에 대응시켰다. 재난의 단계와 소리의 발생 원인에 따른 소리의 분류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의 재난 예방을 위한 사운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smart home system aims to enhance the comfort, safety and enjoyment of residents. The condition of the safety of residents living in smart homes can be determined by sensors inside smart homes. In this paper, we derived and classified various sounds in smart home environment through user experience design methodology that can enhance residents' safety by recognizing the audio senso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and matched to the disaster response phase defined in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research area. The classification of sound according to the stage of disaster and the cause of sound occurrence can be th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ound database for disaster prevention in smart home environment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www.ngcists.org/journal/file_down.asp?file_idx=339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19.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