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책가도를 컨셉으로 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콘텐츠 제안

국내외 문화유산 전시 콘텐츠는 최근 미디어의 발달과 체험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되어 발전되고 있다. 특히 관객이 직접 체험할 수 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체험의 내용을 SNS를 이용하여 체험의 기록, 자랑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 중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을 응용하여 3차원 공간을 생성하거나 대형 멀티 디스플레이 기술과 제스처 입력을 통한 체험 환경을 구성하는 콘텐츠는 다양한 소재들을 접목하여 확장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에 책가도를 컨셉으로 각 계층의 취향과 생활상을 체험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8(3) pp. 287 - 298
Main Authors 이상화, 김동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9.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19.09.0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국내외 문화유산 전시 콘텐츠는 최근 미디어의 발달과 체험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되어 발전되고 있다. 특히 관객이 직접 체험할 수 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체험의 내용을 SNS를 이용하여 체험의 기록, 자랑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 중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을 응용하여 3차원 공간을 생성하거나 대형 멀티 디스플레이 기술과 제스처 입력을 통한 체험 환경을 구성하는 콘텐츠는 다양한 소재들을 접목하여 확장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에 책가도를 컨셉으로 각 계층의 취향과 생활상을 체험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콘텐츠를 제안하는 연구하고자 한다.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contents is keep expending and developing through variety contents that applying technology for increase user experience and development of recent media even at home and abroad. Especially, it is more required involving direct user experience and record experience history with SNS. Content that applied AR and VR to create 3D space or use huge multi display with gesture input device is expending with applying diversiform of subject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search interactive media contents that experience each hierarchy’s character and life based on Caekgado concept from Joseon dynast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www.ngcists.org/journal/file_down.asp?file_idx=343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19.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