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게임의 인터랙션 입력방식 진화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게임의 발전사에 나타난 게임의 인터랙션 입력방식을 분석하여 그 진화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게임산업 초창기 아케이드 게임의 버튼과 조이스틱을 활용한 인터랙션, 휴대용 게임 플랫폼에 적용된 십자키 인터랙션, PC게임에서 키보드와 마우스가 게임콘텐츠와 결합하여 진화한 키보드 콘트롤 등의 인터랙션 방식 그리고 최근 콘솔게임 플랫폼에서 활용되고 있는 동작인식 인터랙션 방식까지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고찰을 진행함으로써 상호 연관관계와 진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하여 그 간의 게임의 인터...
Saved in:
Published in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8(3) pp. 351 - 36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9.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19.09.12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게임의 발전사에 나타난 게임의 인터랙션 입력방식을 분석하여 그 진화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게임산업 초창기 아케이드 게임의 버튼과 조이스틱을 활용한 인터랙션, 휴대용 게임 플랫폼에 적용된 십자키 인터랙션, PC게임에서 키보드와 마우스가 게임콘텐츠와 결합하여 진화한 키보드 콘트롤 등의 인터랙션 방식 그리고 최근 콘솔게임 플랫폼에서 활용되고 있는 동작인식 인터랙션 방식까지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고찰을 진행함으로써 상호 연관관계와 진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하여 그 간의 게임의 인터랙션 입력 방식의 진화과정을 구체적으로 규명함은 물론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의 게임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는 인터랙션 입력 방식을 체계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action input method of game shown in the history of game and to investigate its evolution proces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interaction using buttons and joysticks in the early arcade games of the game industry, and the cross key interaction method applied to the portable game platform.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keyboard and the mouse and the game contents in the PC game, such as the keyboard control and the interaction method, and the gesture-recognition interaction method that is being used in the console game platform recently through extensive considerations of the correlation and evolution process Was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interaction input method of the game was identified in detail, and the interaction input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game platform of the upcom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organized.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www.ngcists.org/journal/file_down.asp?file_idx=349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19.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