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감정소진 조절효과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감정소진이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성과 사이에서 조절효과로서 조직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각각의 연구변수들의 선행연구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 가설들과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설 1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다는 것에 채택이 되었으며, 조절변수 검증을 위한 가설 2에 대해...
Saved in:
Published in | 기술경영, 4(3) pp. 127 - 14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01.09.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감정소진이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성과 사이에서 조절효과로서 조직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각각의 연구변수들의 선행연구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 가설들과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설 1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다는 것에 채택이 되었으며, 조절변수 검증을 위한 가설 2에 대해서는 가설 2-1과 가설 2-2인 소진과 비인격화에 대해 서번트 리더십이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여 채택되었지만 성취감 결여에 대해서는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여 기각되었다. 가설 3인 조절효과 검증에서 가설 3-1, 가설 3-2인 감정소진과 비인격화는 독립변수인 서번트 리더십과 종속변수인 조직성과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어 채택 되었지만, 성취감 결여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기각 되었다. 이러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는 서번트 리더십은 감정소진과 비인격화가 조직성과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설명 가능하며 성취감 결여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급변하는 사회와 무한 경쟁시대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리더의 자질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들과 함께 나아가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새로운 리더십 스타일과 조직구성원들의 성과적인 관리뿐만 아니라 감정적인 부분에서도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것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성과, 조직구성원들의 감정소진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한 결과를 제시 하였다는 것에 이 연구에 대한 의의를 두고자 한다. In this paper,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find out how Servant's leadership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o find out how emotional exhaustion affects the organization's members as a regulating effect between Servant'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was systematically carried out by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of prior research of each research variable, based on which research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s were established.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hypothetical one-man servant leadership is significant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at for hypothesis two for the verification of modulating variables, the hypothesis two-year-old leadership was significantly adopted in the negative direction, but was significantly rejected in the positive direction for lack of achievement. Although the hypothesis 3-person control effec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hypothesis 3-1, the hypothesis 3-2, and the emotion exhaustion and impersonation of the non-personality had been proven and adopted as a result of the adjustment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Servant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e lack of a sense of achievement was rejected as it was judged to have no adjustment effect. The results of these regulatory effectiveness verification suggest that the Subant leadership has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lack of a sense of accomplishment seems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cognizing the need for effective management not only in the qualities of leaders but also in the emotional aspects of new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 members to survive the fierce competition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he age of infinite competition, we conducted this paper to verify the need for effective management not only in the performance but also in the emotional aspects of the members, and presented the resul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organization and the emotions of the members.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http://www.ntri.net |
ISSN: | 2384-3772 2635-7623 |
DOI: | 10.33443/tm.2019.4.3.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