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 건설과 연계한 생산성 저하 요인과 Waste 요인과의 상호 관련성 연구
생산성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건설 생산성은 비용 및 일정과 연관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와도 관련이 크다. 프로젝트에서 생산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생산성 관련 연구는 생산성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원칙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없이 정량적인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련 데이터 수도 적은 실정이다. 국내 건설 공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성 관리의 정량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요인까지 관리해야 하며, 저하요인에 따른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프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4(4) pp. 164 - 172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건설관리학회
01.12.200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6095 2465-9703 |
Cover
Loading…
Summary: | 생산성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건설 생산성은 비용 및 일정과 연관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와도 관련이 크다. 프로젝트에서 생산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생산성 관련 연구는 생산성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원칙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없이 정량적인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련 데이터 수도 적은 실정이다. 국내 건설 공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성 관리의 정량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요인까지 관리해야 하며, 저하요인에 따른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프로세스 및 기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국내 건설 공사의 생산성 관리에 린 건설을 도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산성 저하 요인과 린 건설에서의 Waste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국내 건설 공사 현장에서의 Waste 주요 의미를 살펴보고 두 요인간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여, 린 건설의 프로세스 및 기법을 국내 건설 공사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is a main index to measure the efficiency on the management of the project. Also, The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is not only a main factor associated with cost and schedule but also affects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ject. Regardless of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ivity in the project, in domestic, Most of the study of the productivity is papers associated with quantitative factors without pre-studying the principle and concept of the lean construction factors and the number of the data associated with the productivity, collected in construction site, is also wholly lacking. To improv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first of all, the management on the productivity must be taken from quantitative factors to qualitative factors and then a systematic and detailed process or method must be suggested according to factors decreas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the probable way to meet this situation is the lean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decreas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waste factors, and defining a new meaning of the waste in connection with domestic construction, it is the propose in this paper to suggest a theoretical basement to apply the lean system inside. KCI Citation Count: 5 |
---|---|
Bibliography: | G704-001084.2003.4.4.003 http://www.auric.or.kr/user/rdoc/doc_rdoc_kci.asp?catvalue=3&returnVal=RD_R&page=1&dn=156943 |
ISSN: | 2005-6095 2465-9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