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도기반 가치공학적 기법을 적용한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 최고가치평가 : 중앙분리대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제반 위험요소가 상존하는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의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증가로 인하여 교통안전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성능, 비용 및 효과 분석 프로세스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교통안전시설은 도로사용자의 직‧간접적인 사고위험성이 상존하는 중요한 시설물임을 고려하여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시설의 가치분석 수행시 정량적 위험도분석 결과를 적용한 합리적인 가치분석(VE)기법을 제시하였으며, 고속도로 개선 전‧후 중앙분리대에 적용하여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능분석을 통해 중점개선대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9(1) pp. 143 - 154
Main Authors 지동한, 최현호, 오영태, 김성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2.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다양한 제반 위험요소가 상존하는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의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증가로 인하여 교통안전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성능, 비용 및 효과 분석 프로세스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교통안전시설은 도로사용자의 직‧간접적인 사고위험성이 상존하는 중요한 시설물임을 고려하여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시설의 가치분석 수행시 정량적 위험도분석 결과를 적용한 합리적인 가치분석(VE)기법을 제시하였으며, 고속도로 개선 전‧후 중앙분리대에 적용하여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능분석을 통해 중점개선대상 기능 도출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선 전 중앙분리대 문제점의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며 향후 다양한 교통안전시설의 가치대안 창출시 적용 가능하다. Since the concerns for safety of highway traffic safety facilities inherent in various environmental risk is increased, systematic performance, cost, and effect analysis process is needed for this. In case of median barrier among various traffic safety facilities,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s inevitable because it has lots of direct/indirect risk factors. Thus, this study suggests an advanced VE(Value Engineering) approach incorporating quantitative risk analysis. For the applicability, suggested VE approach considering alternative 1(140cm) and 2(127cm) is applied to median barrier in fields. Also, major improvement objects are extracted from governing factors of cost and performance based on functional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risk assessment methodology will provide rational and practical solutions for best value and the approach could effectively applied for various traffic safety facilities by slight modification of suggest process.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1084.2008.9.1.012
http://www.auric.or.kr/user/rdoc/doc_rdoc_kci.asp?catvalue=3&returnVal=RD_R&page=1&dn=215562
ISSN:2005-6095
2465-9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