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설계를 위한 표준코드의 활용체계 개선방안

플랜트 산업은 2004년도 기준 해외 건설 수주액의 70%를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플랜트 산업은 E(Engineering), P(Procurement), C(Construction) 산업이라고 불리며 국내 플랜트 산업의 기술력은 일부 시설관련 상세설계와 시공부문의 경쟁력을 확보한 상태이다. 그러나 플랜트 산업의 E, P, C 가운데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E부문의 기획, 기본설계 기술이 미흡하여 기술력 향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기획, 기본설계 기술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랜트 설계를 위한 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8(4) pp. 81 - 89
Main Authors 구본학, 김태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8.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플랜트 산업은 2004년도 기준 해외 건설 수주액의 70%를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플랜트 산업은 E(Engineering), P(Procurement), C(Construction) 산업이라고 불리며 국내 플랜트 산업의 기술력은 일부 시설관련 상세설계와 시공부문의 경쟁력을 확보한 상태이다. 그러나 플랜트 산업의 E, P, C 가운데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E부문의 기획, 기본설계 기술이 미흡하여 기술력 향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기획, 기본설계 기술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랜트 설계를 위한 표준코드활용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lant industry is one of important industry that possesses 70% of fund in construction contracts for oversea customers at 2004. It is called E(Engineering), P(Procurement), C(Construction) industry. Plant industry of Korea has a competitive power of the detail design and operation for the establishment construction. But among E, P, C at plant industry, technic of E part which is able to make higher profits; Planning and basic designing; are poor. They should have much more improvements. Thus to enhance a competitive power of planning and basic designing, we are going to analyze problems of utilizing a standard code for plant design and present plans for their improvements. KCI Citation Count: 4
Bibliography:G704-001084.2007.8.4.011
http://www.auric.or.kr/user/rdoc/doc_rdoc_kci.asp?catvalue=3&returnVal=RD_R&page=1&dn=207755
ISSN:2005-6095
2465-9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