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Full texts from electronic resources are only available from the university network. You are currently outside this network. Please log in to access full texts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토공장비의 조합 모형 연구
건설공사의 초기 단계에서 행해지는 토공사는 경우 현장 토공계획에 부합하는 다양한 건설장비를 활용하여 수행된다. 이 경우 짧은 시간에 다종의 건설기계장비가 투입되며 많은 공사비가 소요되는 만큼 어느 공종보다도 토공관리자의 합리적인 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경험과 직관을 바탕으로 토공장비계획이 수립되어 공정관리 및 원가절감 차원에서 적절한지 검증이 어려우며, 계획수립에 요구되는 고려조건이 변경될 때마다 시간과 인력을 투입해야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기계화 토공장비의 굴삭과...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8(4) pp. 194 - 202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건설관리학회
01.08.200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6095 2465-9703 |
Cover
Summary: | 건설공사의 초기 단계에서 행해지는 토공사는 경우 현장 토공계획에 부합하는 다양한 건설장비를 활용하여 수행된다. 이 경우 짧은 시간에 다종의 건설기계장비가 투입되며 많은 공사비가 소요되는 만큼 어느 공종보다도 토공관리자의 합리적인 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경험과 직관을 바탕으로 토공장비계획이 수립되어 공정관리 및 원가절감 차원에서 적절한지 검증이 어려우며, 계획수립에 요구되는 고려조건이 변경될 때마다 시간과 인력을 투입해야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기계화 토공장비의 굴삭과 적재 및 운반단계를 대상으로 토공장비의 적정 조합모형을 구축한다. 연구의 결과로 도출되는 토공장비의 적정 조합모형은 토공계획을 담당하는 관리자가 토공장비계획을 함에 있어 짧은 시간에 합리적인 판단을 하도록 지원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arth work has been improved with the growing utilization of capital intensive equipments. However, work performance is not satisfactory yet due to its experience-oriented characteristics in selecting the combination of earth work equipm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tudy on how to select a set of equipments appropriately and systematically for earth work in order to optimize the cost and time.
This paper consists of : (1) explaining the architecture of an optimum earth work equipment combination model by using a system dynamics technique. (2) testing and evaluating the model through a sample application to a case study. The research is limited to the work of excavating, loading and hauling. The suggested model is verified in practice, so it will assist engineers to make the proper decision for equipment planning of earth work. KCI Citation Count: 10 |
---|---|
Bibliography: | G704-001084.2007.8.4.004 http://www.auric.or.kr/user/rdoc/doc_rdoc_kci.asp?catvalue=3&returnVal=RD_R&page=1&dn=207767 |
ISSN: | 2005-6095 2465-9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