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의 고전 교육의 역사를 통해 본 ‘고전 교과’의 지향점

이 연구는 국어과의 ‘고전’ 교과의 특징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고전은시대와 사회를 초월하여 가치를 인정받은 작품을 의미하며, 국어과 교육이시작된 이래로 고전은 국어과의 주된 교육 내용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교과로서의 ‘고전’은 다양한 교과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내포하기 때문에,기존의 고전 교육과 교과로서의 고전 교육은 차이가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이 연구에서는 고전 교육의 역사를 통해 신설된 ‘고전’ 교과가 지향해야할 점을 찾고자 하였다. 국어과의 고전 교육은 광복 이후 ‘교수요목’이나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교육과정에 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독서연구, 0(27) pp. 381 - 412
Main Authors 허재영, 김경남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독서학회 01.06.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607
2713-913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국어과의 ‘고전’ 교과의 특징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고전은시대와 사회를 초월하여 가치를 인정받은 작품을 의미하며, 국어과 교육이시작된 이래로 고전은 국어과의 주된 교육 내용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교과로서의 ‘고전’은 다양한 교과 현상과 관련된 문제를 내포하기 때문에,기존의 고전 교육과 교과로서의 고전 교육은 차이가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이 연구에서는 고전 교육의 역사를 통해 신설된 ‘고전’ 교과가 지향해야할 점을 찾고자 하였다. 국어과의 고전 교육은 광복 이후 ‘교수요목’이나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3차 교육과정까지의 고전 교육은 국어과 내용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왔으며, 이때의 고전은 ‘국어학’과 ‘국문학’의 옛 작품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훈고 주석의 방법을 위주로 한 독해에 초점을 맞춘 고전교육이 이루어져 왔으며, 점차 ‘고전 = 고전문학’이라는 등식이 생겨나기도하였다. 그러나 매체가 발달하고, 교육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고전의 위기가대두되는 현 상황에서는 훈고 주석의 고전 문학 교육을 벗어나 진정한 고전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고전’ 교과의 신설은 이러한 면에서 의미있는 일로 보인다. 그렇지만 교과 현상으로서 ‘고전’ 교과 운용과 관련하여연구해야 할 다양한 문제가 남아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전 교육’의 위상과 교과로서의 ‘고전’이 갖는 특징만을 논의하였으며, 교과 현상에서 파생될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 과제로 남겨 두었다. Classic means the work which has been appreciated its valu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is is why classical education has been practiced in the entire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s. But the new curriculum (the announcemen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 2011-361) has recently established the classic as the classical subject. However, it has various problems. A curriculum generally contains educational goals,conten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In the past, educators mainly taught footnotes and classical literatures in a classical education. But, the critical value of classic takes place when it deals with a liberal education and ways of thinking as well. Thus, classical works can extend to varied disciplines. New classical subject curriculum consists of ‘subject goal’, ‘the categories of content and the standards of the categorie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These statements contain the identities of Korean language subject. But classical education needs to interact with various subjects. Also, it is necessary to read a book from beginning to end. Again, the new subject contains various problems to be solved.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G704-001476.2012..27.012
ISSN:1598-9607
2713-9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