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기관 헌혈자에서 Xenotropic Murine Leukemia Virus-Related Virus (XMRV)의 분석
배경: 말초혈액에서 XMRV가 검출됨에 따라새로운 수혈전파성 감염원으로서 XMRV에 대한논란이 있었다. 이에, 국내 헌혈자를 대상으로XMRV 검출 가능성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말초혈액에서의 XMRV 검출을 시도해 보았다. 방법: 헌혈자 165명과 만성피로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헌혈자 검체의 전혈을 이용하여 핵산을 추출하고 XMRV의검출을 위해 LC480 (Roche, Penzberg, Germany)을이용하여 gag 유전자와 env 유전자 각각에 대한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모든 실시간-중합...
Saved in:
Published in | Taehan Suhyŏl Hakhoe chi pp. 155 - 160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수혈학회
01.08.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9336 2383-6881 |
Cover
Loading…
Summary: | 배경: 말초혈액에서 XMRV가 검출됨에 따라새로운 수혈전파성 감염원으로서 XMRV에 대한논란이 있었다. 이에, 국내 헌혈자를 대상으로XMRV 검출 가능성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말초혈액에서의 XMRV 검출을 시도해 보았다.
방법: 헌혈자 165명과 만성피로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헌혈자 검체의 전혈을 이용하여 핵산을 추출하고 XMRV의검출을 위해 LC480 (Roche, Penzberg, Germany)을이용하여 gag 유전자와 env 유전자 각각에 대한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모든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에는 오염에 의한 위양성을 방지하기 위해 Uracil-N-Glycosylase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물질은 mouse embryonic fibroblast 에서 추출한 핵산을 이용하였다.
결과: 165명의 헌혈자군에서는 gag 유전자와env 유전자 모두에서 양성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만성피로증후군의 진단을 받은 환자 4명 중 2명은 gag 유전자에서는 증폭을 보이지 않았으나, env 유전자를 대상으로 한 반응에서 증폭곡선을나타내었고, 융해온도도 양성대조의 융해온도와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였다. 이 두 개의 검체는gag 유전자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음성으로 판독되었다.
결론: 말초혈액에서 검출되는 만성피로증후군의 병원체 XMRV가 저자들이 대상으로 한 165명의 헌혈자 검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국내에서 헌혈자를 대상으로 한 XMRV 검출의 첫시도로, 해외 보고와 같이 한국인 헌혈자에서도XMRV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Background:Xenotropic murine leukemia virus-related virus (XMRV) has been detected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Ns), therefore, it has been regarded as being infectious and transmittable by transfusion. Thus, we attempted to detect XMRV in blood samples in order to confirm the absence of XMRV from blood donors.
Methods:We achieved 165 blood donors and four chronic fatigue syndrome (CFS) patients. We performe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the LightCycler 480 (Roche, Penzberg, Germany) for the gag and env genes of the XMRV genome.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samples. We used Uracil-N-Glycosylase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DNA extracted from mouse embryonic fibroblasts (MEF) for amplification control.
Results:No XMRV was detected in any of the blood donors in both the gag and env genes. In four CFS patients, amplification was not detected in the gag gene. In two of four CFS patients, amplifications were detected and the melting temperature was in agreement with that of MEF control in the env gene.
Conclusion:Although XMRV was not present in blood samples from blood donor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XMRV in Korean blood donors. We confirmed the absence of XMRV in Korean blood donors, the same as studies reported in other countri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SER000009603.2013.24.2.007 |
ISSN: | 1226-9336 2383-68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