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외상 환자에서 대량수혈 필요에 대한 예측 인자 분석

배경: 많은 환자들이 출혈을 주소로 응급실에내원하며 수혈을 받는다. 대량수혈에 대한 많은연구들은 이에 대한 예측인자 또는 임상적으로적용 가능한 scoring system 등에 관한 연구가 많으며 이들 대부분은 외상 환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고, 비 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량수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수혈환자 중 비 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 및 사망률, 대량수혈에 대한 위험인자등을 조사하였다. 방법: 서울지역에 위치한 3차 병원인 고려대학교 부속 구로병원에 2009년 3월부터 2011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aehan Suhyŏl Hakhoe chi pp. 275 - 285
Main Authors 유광열, 김정윤, 최성혁, 윤영훈, 임채승, 박상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수혈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많은 환자들이 출혈을 주소로 응급실에내원하며 수혈을 받는다. 대량수혈에 대한 많은연구들은 이에 대한 예측인자 또는 임상적으로적용 가능한 scoring system 등에 관한 연구가 많으며 이들 대부분은 외상 환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고, 비 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량수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수혈환자 중 비 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 및 사망률, 대량수혈에 대한 위험인자등을 조사하였다. 방법: 서울지역에 위치한 3차 병원인 고려대학교 부속 구로병원에 2009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3년 동안 내원한 환자 중에서 수혈을 시행받은 비 외상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5세 미만이거나 외상 환자이거나 신선동결혈장 및 혈소판을 단독으로 투여 받은 환자는 제외하였다. 대량수혈은 응급실 내원 후 6시간 내 5단위 이상을 수혈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비 외상 환자에서 대량수혈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 인자와 대량수혈을받은 환자들에서 사망률에 대한 예측 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1,655명의 비 외상 환자가 수혈을 받았고, 그 중에서 140명(9.24%)이대량수혈을 받았다. 대량수혈군에서 중환자실 재실 기간은 더 길었고, 사망률은 높았다. 두 군 모두에서 위장관출혈이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했다. FFP:RBC 비는 대량수혈군에서 비 대량수혈군에 비해 더 높았다. 대량수혈군 중에서 비 생존군이 생존군에 비해 FFP:RBC 비가 더 높았다. 대량수혈에 대한 예측인자로는 수축기혈압, 평균동맥압, 젖산, pH, Base excess가 의미 있는 결과를보였다. 결론: 응급실에 내원하는 비외상환자에서 대랑수혈군의 예후는 비 대량수혈군에 비해 좋지않았다. 응급실에 내원하여 수혈을 시행 받은 비외상환자 중 수축기혈압, 평균동맥압, 젖산, Base excess, pH가 비정상일수록 대량수혈을 예상할수 있을 것이다. 이는 외상환자에서와 같이 대량수혈을 예측하는 clinical scoring system 등에 적용하여 조기 치료방침이나 예후를 판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Many patients received transfusion in emergency department because of blood loss. There are few studies on massive transfusion for non-traumatic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mortality and risk factor for non-traumatic bleeding patients who received transfusion. Methods:Non-trauma patients who received transfusion at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3 years from March 2009 to February 2011 were enrolled. The patients who are younger than 15 years, trauma patients, and transfused FFP or platelet alone are excluded. Medical records was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We investigated predictive factors for MT on non-trauma patients and predictive factors for mortality on MT patients. Results:Among 1655 non-trauma patients, 150 patients (9.24%) received MT. The age of MT group was younger than that of non-MT group and systolic bloor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arterial pressure were significantly lower. Base excess, pH, lact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T and non-MT group. Intensive care unit length of stay was longer, mortality of 24 hours was higher and survival discharge was lower than non-MT group. Mortality rate of MT group was 20.7%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MT group’s 9.3%. FFP:RBC ratio was higher in MT group than non-MT group. Among the MT group, non-survival group used higher FFP:RBC ratio product than survival group. On multivariate analysis, sBP, MAP, lactate, pH, BE were significant as predictors of MT. Conclusion:For non-trauma patients in emergency department, if sBP, MAP, lactate, pH, BE are abnormal, massive transfusion could be expected. Like trauma patients, basic scoring system that can predict MT would be necessary and useful.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SER000009603.2013.24.3.002
ISSN:1226-9336
2383-6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