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 운문사 문화경관림 식생구조 특성과식생경관 관리방안 연구

본 연구는 청도군 운문사 주변 문화경관림의 주요 경관과 식생구조 특성을 분석하여 식생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문화경관림으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경관 특성은 운문사에서 바라본 경관과 운문사를 바라보는 경관으로 두 가지 관점에서 8개의 경관조망점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운문사 입구의 수구막이 소나무림, 운문사 앞 전나무-소나무림, 사면 소나무림 등이 주요 경관이었다. 운문사 주변 현존식생 조사 결과, 소나무림과 소나무-전나무림이 79.2%로 넓게 분포하였다. 식물군집 구조는 총 30개 방형구를 조사하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47(3) pp. 81 - 92
Main Authors 이도이, 한봉호, 곽정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01.06.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청도군 운문사 주변 문화경관림의 주요 경관과 식생구조 특성을 분석하여 식생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문화경관림으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경관 특성은 운문사에서 바라본 경관과 운문사를 바라보는 경관으로 두 가지 관점에서 8개의 경관조망점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운문사 입구의 수구막이 소나무림, 운문사 앞 전나무-소나무림, 사면 소나무림 등이 주요 경관이었다. 운문사 주변 현존식생 조사 결과, 소나무림과 소나무-전나무림이 79.2%로 넓게 분포하였다. 식물군집 구조는 총 30개 방형구를 조사하여 평지림, 사면림, 하반림의 3개의 지형 특성과 조사구별 우점종의 평균상대우점치에 따라 7개의 군집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집별 식생구조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식생구조 변화 예측과 종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평지 소나무군집은 아교목층에 개서어나무가 우점하였고, 평지 소나무-전나무 군집은 관목층에 전나무의 상대우점치가 높았다. 평지 전나무군집은 교목층에 경쟁종이 없었고, 사면의 소나무 대경목군집과 소경목군집은 아교목층에 잔털벚나무, 굴참나무가 우점하였으며, 사면 관리된 소나무군집은 관목층에도 소나무 우점도가 높았다. 소나무 하반림군집은 아교목층에 때죽나무, 잔털벚나무가 우점하였다. 전체적으로 개서어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교목성상의 낙엽활엽수가 아교목층에 우점하고 있어 식생구조 변화가 예측되었다. 샤논의 종다양도지수는 0.2360~1.4088이었으며, 상관관계 분석결과, 소나무와 부의 상관관계에 있는 수종은 고로쇠나무, 개암나무, 느티나무, 비목나무이었고, 전나무는 때죽나무, 소나무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관특성과 식물군집 구조를 분석하여 소나무 및 전나무림의 지속가능한 경관유지 및 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management plan of the cultural landscape forests located around Unmun Temple in Cheongdo-gu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manage the cultural landscape forests.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two perspectives including the landscape as viewed from inside and outside of Unmun Temple and eight landscape views are selected. Main views are Pinus densiflora forest and Abies holophylla forest around Unmun Temple.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existing vegetation around Cheongdo-gun Unmun Temple, P. densiflora forests and P. densiflora-A. holophylla forests are widely distributed, occupying 79.2% of the forest.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was classified into seven types according to the thre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flat forests, slope forests, and lower forests, Which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30 survey plots and the average relative importance percentage was determined. The P. densiflora community on the flat are dominated by Carpinus tschonoskii in Under-canopy. The P. densiflora-A. holophylla community on the flat had a relatively high rate of domination in the shrubs. There were no competing species for the A. holophylla community on the plat. The large standard P. densiflora and the small standard P. densiflora were expected to be confined by P. serrulata var. pubescens and the Quercus variabilis on the slopes. The managed P. densiflora community had a relatively high rate of P. densiflora domination in the shrubs. The P. densiflora community on the lowland was dominated by Styrax japonicus and P. serrulata var. pubescens. The Shannon species diversity index was 0.2360 to 1.4088.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P. densiflora, A. holophylla and other species were P. densiflora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cer mono, Corylus heterophylla var. heterophylla, Zelkova serrata and A. holophylla, and A. holophylla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S. japonicus and P. densiflora.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s are analyzed to propose management methods of maintaining and restoring The P. densiflora and A. holophylla cultural forest landscapes around Unmun Templ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www.jkila.org/archive/view_article?pid=jkila-47-3-81
ISSN:1225-1755
2288-9566
DOI:10.9715/KILA.2019.47.3.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