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전완부 골절에서 시행한 골수내 무딘 K-강선 고정술

목적: 소아 전완부 골절에 대해서 골수내 무딘 K-강선(blunt K-wire) 고정을 시행하였고 그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14세 이하 소아 전완부 골절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35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단순 방사선 영상을 이용하여 골절의 위치, 술 전후 각도, 그리고 골유합 기간을 평가하였다. 환자에 대해서는 술 후 고정 기간, 술 후 관절 각도, 그리고 술 후 합병증에 대해서 평가하였다.결과: 환자의 나이는 평균 8.1세였으며, 골절의 부위는 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24(2) pp. 126 - 132
Main Authors 서유준, 조용신, 박호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수부외과학회 01.06.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86-3290
2586-3533
DOI10.12790/ahm.2019.24.2.12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소아 전완부 골절에 대해서 골수내 무딘 K-강선(blunt K-wire) 고정을 시행하였고 그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14세 이하 소아 전완부 골절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35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단순 방사선 영상을 이용하여 골절의 위치, 술 전후 각도, 그리고 골유합 기간을 평가하였다. 환자에 대해서는 술 후 고정 기간, 술 후 관절 각도, 그리고 술 후 합병증에 대해서 평가하였다.결과: 환자의 나이는 평균 8.1세였으며, 골절의 부위는 요척골이 22예, 요골이 8예, 척골이 5예였다. 골절의 위치는 원위 간부가 10예, 중간 간부가 22예, 근위 간부가 3예였다. 술 후 고정 기간은 평균 5주였으며 평균 4주째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술 후 모든 예에서 정상 관절 운동 범위를 보였다. 재골절, 핀 부러짐이나 감염 등의 중요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결론: 소아에서 골수내 무딘 K-강선 고정법을 이용한 전완부 골절의 치료는 합병증이 적고 술기가 편하여 골절의 부위나 위치에 상관없이 고려할 수 있는 치료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Intramedullary blunt K-wire fixation was performed for pediatric forearm fractures and we report the clinical results.Method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7, we retrospectively reviewed 35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pediatric forearm fractures under 14 years of age. The location of the fracture, pre- and postoperative angulation, and the union time were evaluated using simple radiographs. Patients were evaluated for postoperative immobilization perio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of the wrist and elbow joint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8.1 years. The fracture site was the both in 22 cases, the radius in 8 cases, and ulna in 5 cases. The location of fracture was 10 cases in distal diaphysis, 22 cases in mid-shaft, and 3 cases in proximal diaphysis. The mean postoperative immobilization period was 5 weeks and bone union was achieved at 4 weeks. Bony union was obtained in all cases and all cases showed normal range of motion. There were no major complications such as re-fracture, pin fracture, or infection.Conclusion: Intramedullary blunt K-wire fixation for pediatric forearm fractures may be one of the treatment methods that can be consider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fracture with few complications. KCI Citation Count: 0
ISSN:2586-3290
2586-3533
DOI:10.12790/ahm.2019.24.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