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사회공헌의 소외계층 담론:삼성 단편영화 ‘별리섬’의 시선과 문화 정치적 함의
삼성은 오너의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연루와 삼성 반도체 백혈병 분쟁,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 등 연이은 이슈로 사회적 비판에 직면한 상황에서 사회공헌 관련 소통 강화를 천명했다. 일례로 2018년 10월, 삼성전자의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드림클래스’를 소재로 단편영화 ‘별리섬’을 제작해 공개했는데, 이 영화는 사회공헌 광고라는 정체성에도 불구하고 대대적인 마케팅 지원과 함께 큰 성공을 거두었다. ‘별리섬’은 스펙과 고수익 아르바이트의 목적으로 드림클래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한기탁과 섬학교 아이들이 수업을 통해 성장...
Saved in:
Published in | 사회과학연구논총 , 35(1) pp. 187 - 22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이화사회과학원
01.04.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8987 2671-9029 |
DOI | 10.16935/ejss.2019.35.1.006 |
Cover
Summary: | 삼성은 오너의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연루와 삼성 반도체 백혈병 분쟁,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 등 연이은 이슈로 사회적 비판에 직면한 상황에서 사회공헌 관련 소통 강화를 천명했다. 일례로 2018년 10월, 삼성전자의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드림클래스’를 소재로 단편영화 ‘별리섬’을 제작해 공개했는데, 이 영화는 사회공헌 광고라는 정체성에도 불구하고 대대적인 마케팅 지원과 함께 큰 성공을 거두었다. ‘별리섬’은 스펙과 고수익 아르바이트의 목적으로 드림클래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한기탁과 섬학교 아이들이 수업을 통해 성장하는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 이 글은 영화 텍스트가 기존 사회공헌 광고의 전형적 스토리텔링이나 화법에서 탈피해 감성적인 드라마로 제시하는 기업 자선과 사회공헌 담론 및 이를 전달하고 수용하는 언론과 대중의 수용 양상의 분석을 통해 삼성 사회공헌 제작물의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사회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나 고민 없이, 기업자선가를 영웅시하고 지원대상의 지원받을 자격을 규정하는 영화의 자선 담론은 신자유주의 체제 하 통치성 측면에서 개인화와 파편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Samsung has announced its plan to strength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communication under the social pressure related to the heavy criticism on its recent issues such as the owner’s involvement in the Choi Sun-sil scandal, Samsung semiconductor leukemia dispute, and Samsung BioLogics’ accounting fraud. Shortly after, in October 2018, a short film ‘My Dream Class’ was released for free via online channels. This film is about Samsung’s representative CSR program ‘Dream Class’ which supports education opportunities for the socially excluded children by providing afterschool classes with the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Despite its identity as a CSR PR material, the film has surpassed the 0.1 billion views worldwide within 38 days since the release.
This article explores the existing discourses on corporate philanthropy and CSR by analyzing the film ‘Dream Class.’ We investigate how the public and the media view this film and communicate with it, and also examine personalization and fragmentation in the CSR discourses from the point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as the corporate philanthropist is described as a hero without concerning the causes of more structural social problems and the pain of the exclud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5-8987 2671-9029 |
DOI: | 10.16935/ejss.2019.3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