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 불 번역에서의 피동성 표현 문제(1) etre-Passif, se-Passif 그리고 se-Neutre 구문으로의 불역문제

한국어의 피동성 표현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와 함께 형태-통사적으로나 의미적으로 피동성이 분명한 접미 피동문이다. 다른 하나는 접미 피동문처럼 형태-통사적인 기준을 명확하게 갖는 것은 아니지만, 피동의 의미를 드러내는 다음 세 가지 유형의 피동적 표현이다. 첫째 ‘-어/아 지다’ 구문은 용언에 ‘-어/아 지다’가 첨가되어 피동적 의미를 드러낸다. 둘째, ‘되다’ 구문은 ‘하다’로 이루어진 타동사문에서 ‘하다’를 ‘되다’로 대치하여 피동적 의미를 드러낸다. 셋째, ‘받다/당하다’ 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학논집, 0(36) pp. 297 - 348
Main Author 김지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학연구원 01.06.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8902
2671-7492
DOI10.18399/actako.2008..36.0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한국어의 피동성 표현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하나는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와 함께 형태-통사적으로나 의미적으로 피동성이 분명한 접미 피동문이다. 다른 하나는 접미 피동문처럼 형태-통사적인 기준을 명확하게 갖는 것은 아니지만, 피동의 의미를 드러내는 다음 세 가지 유형의 피동적 표현이다. 첫째 ‘-어/아 지다’ 구문은 용언에 ‘-어/아 지다’가 첨가되어 피동적 의미를 드러낸다. 둘째, ‘되다’ 구문은 ‘하다’로 이루어진 타동사문에서 ‘하다’를 ‘되다’로 대치하여 피동적 의미를 드러낸다. 셋째, ‘받다/당하다’ 따위 구문은 ‘하다’를 ‘받다’나 ‘당하다’ 따위로 대치하여 피동적 의미를 드러낸다. 이 글은 이들 한국어의 피동표현이 어떤 언어학적 조건에서 조동사 être를 동반한 피동문(이하 ‘être-Passif’ 구문으로 약칭)과 재귀사 se를 동반한 2가지 유형의 대명동사구문, 곧 수동적 용법의 대명동사구문(이하 ‘se-Passif’ 구문으로 약칭)과 중성적 용법의 대명동사구문(이하 ‘se-Neutre’ 구문으로 약칭)으로 각각 불역(佛譯)되는지를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한국어의 피동 표현이 실제로 어떻게 불어에서 번역되고 있는가에 대한 자료체를 9권의 원문 소설과 그 불어 번역문에서 수집했다. 그리고 다음 세 가지 언어학적 기준을 가지고 예문들을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어 피동표현의 주어가 갖는 인칭과 어휘적 의미는 상기 세 구문(곧 ‘être-Passif’ 구문, se-Passif 구문 그리고 se-Neutre 구문)으로의 불역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둘째, 한국어 피동 동사의 시상이 갖는 완료성의 여부는 이들 세 불어 구문의 번역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셋째, 한국어 피동문의 의미상 주어가 행위자인가 아니면 원인자인가가 이들 세 구문으로의 불역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이들 세 가지 언어학적 기준을 가지고 예문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어 피동성 표현의 주어가 ‘être-Passif’ 구문과 ‘se-Neutre’ 구문의 주어로 불역되는데 있어서는 인칭은 물론이고 어휘적 의미에서도 아무런 제약이 없다. 반면 한국어 피동 표현이 ‘se-Passif’ 구문으로 번역되기 위해서는 주어의 인칭과 어휘적 의미에 있어서 제약이 있다. 즉 불어의 ‘se-Passif’ 구문은 한 동사의 사행 주체가 자질 [+pers]를 내재하고, 그 사행의 대상이 자질 [-pers]를 내재할 때만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의 피동표현에서 3인칭의 사물 (대)명사나 사물로 대상화될 수 있는 ‘인간’명사만이 ‘se-Passif’ 구문의 주어로 번역된다. [2] 행위동사의 경우, 한국어 피동표현이 ‘être-Passif’ 구문으로 번역되기 위해서는 피동 동사의 사행이 완료적일 필요가 있다. 이것은 불어의 과거분사가 기본적으로 사행이 완료된 탈장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한편, 완료된 행위를 나타내는 ‘-어 있다’, ‘-고 말다’ 그리고 ‘-어 버리다’와 같은 보조동사 및 ‘-고(서)’와 ‘-어(서)’와 같은 연결어미와 결합된 한국어 피동 표현은 불어에서도 또한 완료된 행위를 나타내는 ‘être-Passif’ 피동형으로 번역된다. 이에 반해, 현재나 과거에 진행 중인 미완료 행위나 미래에 이루어질 완료되지 않은 사실을 나타내는 한국어 피동 표현은 불어에서도 미완료적 피동형인 ‘se-Passif’로 번역된다. 특히 미완료의 진행상을 나타내는 보조동사 ‘-고 있다’나 연결어미 ‘-(으)면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inguistic factors that decide the types of French constructions, that is to say the distribution of the être-passive, the se-passive and the se-neutral when Korean passive expressions, namely the passive sentences either marked by les affixes '-i-, -hi-, -ri-, -gi-', or marked by the auxiliary verbs '-eo/a jida, -doeda, -badda, -danghada', are translated into French. For this purpose we made use of the following three linguistic criteria. [1] Are the personal modality and the semantic property that has the subject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restrained in the translation of these three french constructions ? [2] Is the verbal aspect that contains Korean passive expressions perfect or imperfect ? [3] Is the semantico-logical subject that contains Korean passive expressions an agent or a causant ? There are the results of these linguistic operations. [1] The subject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can assume the form of the être-passive and the se-neutral in French without any semantic restriction. But it has a semantic restriction when it is translated into the form of the se-passive. That is to say it is only the nouns or pronouns of third person that can be translated as a subject in the se-passive. [2] For the agentive verbs, the verbal aspect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has to be perfective to be translated into the être-passive, by reason that the French past participle presents fundamentally the detention that is the perfective tense. It is above all when Korean passive expressions are realized, either with the auxiliary verbs '­eo-iss-da', '­go-malda' and '­eo-beorida', or with les affixes of coordination '­go(seo)' and '­eo(seo)' that they are translated into the être-passive with the perfective aspect. On the other hand, when the aspect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is imperfective, they are translated into the se-passive, especially when they are combined, either with the auxiliary verb '­go-iss-da', or with les affixes of coordination '­(eu)myeonseo' and '­(eu)myeo'. However, they can be translated into the se-passive with the perfective aspect when they express the non-concrete process with un abstract noun subject, and when they accentuate the iterative lecture of the verbal process. At last, the perfective or imperfective aspect of the verbal process is not pertinent when it is question of the translation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into the se-neutral in French. [3] When the semantico-logical subject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is an agent or is supposed to be an agent, they can be translated into the être-passive or the se-passive. They can be translated into the se-passive when the semantico-logical subject is an unrealized agent. On the contrary, they can be translated into the être-passive when the semantico-logical subject is either accompanied by the markers of performer of the act like '­ege', '­e-uihae', '­e' and '­ro', or an unrealized agent. And the implied agent is identified with the subject of the transitive formulation inside the group of verbal formulations. When the semantico-logical subject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is a causant or is supposed to be a causant, they are translated into the se-neutral. And this causant is also realized as the subject of the transitive formulation.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1843.2008..36.003
ISSN:1738-8902
2671-7492
DOI:10.18399/actako.2008..36.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