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도시 뉴타운지역 주거세입자 의식 및 심리조사 연구
중·소도시인 김포시 뉴타운지역(도시재정비촉진사업지구 입안 중, 주택재개발지구)을 중심으로 주택재개발사업 과정에 주거 세입자들이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의식과 심리조사를 실증·분석 연구한 결과 첫째, 김포시는 서울특별시에서 근거리에 위치하는 지리적입지조건 때문에 도시빈민이라고 할 수 있는 저소득 계층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향후 주택재개발사업이 추진될 경우 저소득층인 이들에 대한 이주대책을 정부에서 마련해 두었지만 생계대책까지도 고려해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의식조사에 서 거주자의 상당부분이 재개발사업을 잘 모르...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부동산학회지, 28(2) pp. 147 - 17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부동산학회
01.12.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1054 2713-6981 |
Cover
Summary: | 중·소도시인 김포시 뉴타운지역(도시재정비촉진사업지구 입안 중, 주택재개발지구)을 중심으로 주택재개발사업 과정에 주거 세입자들이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의식과 심리조사를 실증·분석 연구한 결과 첫째, 김포시는 서울특별시에서 근거리에 위치하는 지리적입지조건 때문에 도시빈민이라고 할 수 있는 저소득 계층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향후 주택재개발사업이 추진될 경우 저소득층인 이들에 대한 이주대책을 정부에서 마련해 두었지만 생계대책까지도 고려해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의식조사에 서 거주자의 상당부분이 재개발사업을 잘 모르고 있었으며 특히, 세입자에게 주워지는 권리에 대해 95%가 전혀 모르고 있어 역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에게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 또는 사업설명회와 아울러 이주대책 설명회 등이 마련되어 있지만 철저한 준비와 교육이 강조된다. 셋째, 재개발사업 진행시 이주시점과 이주 시 문제점에 대해서는 상당부분 세입자가 주거 이전비를 받더라도 적절한 보상이 더 이루어질 때까지 이주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해 향후 추진과정에 문제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조합에서 추가로 이들에게 생계대책이나 이주보상비를 지급하지 않는 한 법으로 정해진 이주 보상규정을 충분히 교육과 홍보를 통해 이해시킬 필요성이 있다. 넷째, 공공임대아파트에 입주할 경우 소형임대아파트를 원하고 있어 저렴한 보증금과 월세로 입주할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주거세입자의 이전 보상비에 대한 의견과 임대주택공급대상자에 대한 의견에서 모두 불 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현행법을 고칠 수는 없으나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f resident tenants’ awareness about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n its process with a focus on the new town district of Kimpo City(housing redevelopment district of the urban improvement promotion project), the small- to medium-sized city.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Kimpo city is the place where many low-income brackets said to be the urban needy live because of the geographical locational condition that it is located near from Seou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asure for livelihood of those low-income brackets as well as the measure for their migration in case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s promoted in the future. Second, the survey of their awareness of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showed that a considerable part of them were not aware of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well. Especially, 95% of the respondents never knew about the rights given to tenants, which can be said to be a big proble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education to help them understand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or the presentation meeting for migration measure along with the project presentation meeting. Third, a considerable par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would not migrate to another place until proper compensation is given to them in relation to the problem occurring at the time of migration as well as the point in time of migration at the time of progressing the redevelopment project. It remains as a problem in the process of promotion in the futur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m to understand the provisions of compensation for migration stipulated in the law sufficiently through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s long as the association does not provide them with the livelihood measure and compensation for migration additionally. Fourth,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m to live in the small-scale rental apartment with low key money and monthly rent in case they move into the public rental apartment. Fifth,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respondents felt unsatisfied with the compensation for migration of resident tenants and the supplier of rental housing.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study it in the future as the current law cannot be amended.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SER000009102.2010.28.2.004 |
ISSN: | 1225-1054 2713-69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