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비과업행동(non-task behavior)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늘날 조직연구의 주요 연구 중 하나는 조직효과성과 리더십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경영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최근들어 감성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사이의 관계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반면, 공공분야 연구자들은 감성적 리더십과 그 효과에 대해 소홀히 취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감성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사이의 관계를 비과업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련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본 연구의 분석...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직학회보, 9(1) pp. 21 - 4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직학회
01.04.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3595 2671-5864 |
DOI | 10.21484/kros.2012.9.1.21 |
Cover
Summary: | 오늘날 조직연구의 주요 연구 중 하나는 조직효과성과 리더십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경영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최근들어 감성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사이의 관계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반면, 공공분야 연구자들은 감성적 리더십과 그 효과에 대해 소홀히 취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감성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사이의 관계를 비과업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련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비과업행동의 부정적 측면을 제외한 상정된 모든 변수들이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직의 감성역량이 비과업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Recently, one of the major subject in organization studies has been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eadership. Many researchers of corporation management side has concerned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 performance. But public sector researchers are not interest in thes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non-task behavior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jor hypotheses were tes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Here are some implications derived from study. Frist, emotional leadership, emotional competence, non-task behavior of positive side is related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xcept non-task behavior of negative side. Second, Emotional competence of Organization influences to non-task behavior of negative side in a negative way. KCI Citation Count: 30 |
---|---|
Bibliography: | G704-002136.2012.9.1.002 |
ISSN: | 1738-3595 2671-5864 |
DOI: | 10.21484/kros.2012.9.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