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조직 구성원들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조직몰입에 대한 소고(小考): 직무 및 생활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능력과 역량, 그리고 몰입의 수준은 조직 그 자체와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 자산이기에 조직과 직무에 대한 구성원들의 부정적인 자세와 태도는 조직에도 치명적인 결함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과 조직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개인과 업무의 특성이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가 성공적인 조직으로 향하는 핵심 기제로 작용할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조직 구성원들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조직몰입에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직무 및 생활만족을 개인-직무 적합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직학회보, 12(2) pp. 1 - 35
Main Authors 오현규, 박성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직학회 01.08.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3595
2671-5864
DOI10.21484/kros.2015.12.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조직 구성원들의 능력과 역량, 그리고 몰입의 수준은 조직 그 자체와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 자산이기에 조직과 직무에 대한 구성원들의 부정적인 자세와 태도는 조직에도 치명적인 결함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과 조직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개인과 업무의 특성이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가 성공적인 조직으로 향하는 핵심 기제로 작용할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조직 구성원들의 개인-직무 적합성이 조직몰입에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직무 및 생활만족을 개인-직무 적합성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조직의 중요한 긍정심리자본으로써 핵심 조절변수로 설정하였고,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에서 그 영향관계가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도출된 연구가설을 토대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분석결과들은 조직의 특성과 유형, 그리고 구성원들의 내면적 동기구조에 맞는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인사정책 및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Given that employees' capabilities and personal abilities within an organization are crucial assets to boos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we could be assured that their negative attitudes and views on organizational missions, management systems, and job-related activities might create a potential fatal flaw in running the organization. From the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viewpoint, this study identified how the level of person-job fit would be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verify and confirm a set of research hypotheses, we performed a wide range of statistical tests, such as a reliability analysi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rawing upon discussions of the findings, we provided theoretical lessons,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We also briefly discussed how to overcome methodological limitations and offered tangibl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KCI Citation Count: 21
Bibliography:G704-002136.2015.12.2.004
ISSN:1738-3595
2671-5864
DOI:10.21484/kros.201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