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시간을 활용한 태권도 전공 대학생을 위한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효과 분석
이 연구는 태권도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시간을 활용한 10주간의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스트레스 검사를 통해스트레스 수준이 평균보다 높고 자신이 스트레스 상황이라고 인지하는 태권도 전공 대학생 15명이다.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DISC 성격 검사를 통한 자신 및 타인 이해의 폭 향상 훈련(의사소통 기법 포함), 목표설정훈련, 이완훈련/멈·살·채 기법, 인지재구성훈련, 자화훈련, 심상훈련, 자기확신훈련 등과 같이 대학생의스트레스 감소...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pp. 2371 - 238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01.12.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1.22.4.2371 |
Cover
Loading…
Summary: | 이 연구는 태권도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시간을 활용한 10주간의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스트레스 검사를 통해스트레스 수준이 평균보다 높고 자신이 스트레스 상황이라고 인지하는 태권도 전공 대학생 15명이다.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DISC 성격 검사를 통한 자신 및 타인 이해의 폭 향상 훈련(의사소통 기법 포함), 목표설정훈련, 이완훈련/멈·살·채 기법, 인지재구성훈련, 자화훈련, 심상훈련, 자기확신훈련 등과 같이 대학생의스트레스 감소, 스트레스 대처 능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스트레스 대처프로그램은 10주간 주 2회로 실시되었으며, 스트레스 검사,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개방형질문지 및 면접을 통해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10주간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태권도 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10주간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태권도 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10주간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은 태권도 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나타났다. 이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of Taekwondo department on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Subjects comprised fifteen university students of Taekwondo department in university. Stress symptoms inventory, stress coping strategies inventory, self-esteem inventory, ope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administered prior to the start of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and at post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ly,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stress from pre-test treatment to post treatment. Secondly,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coping strategy based on problem, while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avoidance coping strategy. Lastly,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self-esteem.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5 |
---|---|
Bibliography: | G704-000739.2011.22.4.012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11.22.4.23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