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영상의 재생시간과 데이터양의 상관관계를 통한 영상의 원본 판독기법

핸드폰의 카메라 성능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 대부분의 영상 매체들이 핸드폰을통하여 촬영되고 배포되고 있다. 하지만 증거로 사용되는 핸드폰 영상은 디지털의 특성상 원본 여부에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디지털 영상으로 기록된 영상의 재생기간과 데이터량의상관관계를 통해 각 핸드폰의 고유 특징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된 핸드폰 고유의 패턴이 영상편집 프로그램에 적용되어 2차 편집 영상으로 만들어 졌을 때, 발생하는 재생시간과 데이터양 사이의 상관관계가 원본 소스와 일치하는지에 대한 실험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과학수사학회지, 13(1) pp. 25 - 32
Main Authors 강신선, 성지훈, 황민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과학수사학회 01.03.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핸드폰의 카메라 성능이 향상되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 대부분의 영상 매체들이 핸드폰을통하여 촬영되고 배포되고 있다. 하지만 증거로 사용되는 핸드폰 영상은 디지털의 특성상 원본 여부에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디지털 영상으로 기록된 영상의 재생기간과 데이터량의상관관계를 통해 각 핸드폰의 고유 특징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된 핸드폰 고유의 패턴이 영상편집 프로그램에 적용되어 2차 편집 영상으로 만들어 졌을 때, 발생하는 재생시간과 데이터양 사이의 상관관계가 원본 소스와 일치하는지에 대한 실험을 통해 핸드폰으로 촬영된 영상의 원본 여부 판독에 대한 기술적인 준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은 일반적인 핸드폰 초기 기본설정 값(해상도, 초당 프레임 수 등) 및 통제 변수를 축소화하기 위하여 기타 촬영 어플을 사용하지않은 전제조건에서 진행되었다. Due to enhanced camera performance and easy using convenience, most videos are taken and distributed by smart phones. However, smart phone video file as an evidence needs to be verified. For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ell phone were class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time and the amount of data recorded in the digital video.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cell phones data and edited cell phone data using editing software. This study proposed a technical base to identify of original video data. These results we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efault settings (resolution, number of frames per second, etc.) of the general mobile phone and control variables were not used in order to reduce the control variables. KCI Citation Count: 0
ISSN:2466-1422
2466-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