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중심학습기반 소프트웨어 산업 융합형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자 인력양성 사례분석 연구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들이 다양한 콘텐츠와 융합하여 연구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 기술은 여러 산업과 융합하여 콘텐츠로 제작되고 있으며, 미래 산업으로써 유망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2018년 현재 정부 및 관련 교육기관에선 가상현실과 관련된 인재 육성에 대한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선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연구와 가상현실 콘텐츠의 현황과 제작 방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차별화된 SW기반 산업 융합형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자 양성의 교육과정을 설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8(1) pp. 71 - 82
Main Authors 권용만, 강호성, 김정윤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3.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19.03.0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들이 다양한 콘텐츠와 융합하여 연구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 기술은 여러 산업과 융합하여 콘텐츠로 제작되고 있으며, 미래 산업으로써 유망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2018년 현재 정부 및 관련 교육기관에선 가상현실과 관련된 인재 육성에 대한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선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연구와 가상현실 콘텐츠의 현황과 제작 방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차별화된 SW기반 산업 융합형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자 양성의 교육과정을 설계 및 운영하였으며 설계된 교육 과정을 통해 IITP에서 정부 지원을 받아 가천대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설계 및 운영된 교육과정을 통해 높은 만족도의 교육이 운영되었으며 정량적, 정성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교육과정과 차별화된 SW 기반 산업 융합형 프로젝트 중심 학습을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가상현실 인력양성의 새로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new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eing developed in combination convergence with various contents.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being convergence with various industries to produce various contents and it is emerging as a promising industry as a future industry. Therefore, as of 2018, the government and related education institutions are support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lated to virtual reality.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the curriculum and the present state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in order to design the curriculum for training the developer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curriculum and conducted the curriculum at Gachon University under the support of IITP government through the curriculum. The designed and operated curriculum provided education of high satisfaction and was able to deriv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ults achievements could be derived. In this research, we proposed a new educational method for cultivating the virtual reality manpower by applying the SW - based industry.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029_245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19.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