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제4기 육상 미고결 퇴적물 연구 현황

우리나라 육상에서의 제4기 미고결 퇴적물은 산악, 호수, 하천, 연안 지역 등 다양한 환경에서 각각 독특한양상을 보이며 분포하고 있다. 야외에서 관찰할 수 있는 퇴적물은 붕적 퇴적층(colluvium), 사면 퇴적층(alluvium), 선상지 퇴적층(alluvial fan deposits), 하성 퇴적층(fluvial deposits), 호성 퇴적층(lacustrine deposits), 해성 퇴적층(marine deposits), 고토양층(paleosol), 해안 사구 퇴적층(coastal sand dune), 그리고 인위적인 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4(1) pp. 107 - 119
Main Author 남욱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우리나라 육상에서의 제4기 미고결 퇴적물은 산악, 호수, 하천, 연안 지역 등 다양한 환경에서 각각 독특한양상을 보이며 분포하고 있다. 야외에서 관찰할 수 있는 퇴적물은 붕적 퇴적층(colluvium), 사면 퇴적층(alluvium), 선상지 퇴적층(alluvial fan deposits), 하성 퇴적층(fluvial deposits), 호성 퇴적층(lacustrine deposits), 해성 퇴적층(marine deposits), 고토양층(paleosol), 해안 사구 퇴적층(coastal sand dune), 그리고 인위적인 퇴적층(artificial ground)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고결 퇴적물이 현재의 지형 조건에 따라 어떻게 분포하는지 또 과거의 퇴적환경은 어떠했는지, 즉 수평-수직적 또는 공간-시간적 분포 양상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자하는 노력이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육상 미고결 퇴적물은 제4기 동안의 퇴적환경 뿐만 아니라 기후나 식생등의 지표환경 변화, 해수면 변화 등의 기록을 보존하고 있지만, 한계도 분명히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수천-수만년에 걸친 장시간의 기록이나 고해상도의 연속적인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 미고결 퇴적층을 연구할 때에는 퇴적-침식, 재이동-재퇴적, 매몰 속도의 빠름과 느림, 토양화작용과 생물교란작용의 유무 등을 신중하게검토하고, 퇴적물 기록의 한계성을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편, 퇴적물 시료를 획득하기 위한 시추조사에있어서도 주의할 점을 충분히 숙지하여야 한다. The Quaternary terrestrial unconsolidated sediments in Korea are distributed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including mountainous, lake, river, and coastal regions. The sediments that can be observed in the open fields are colluvium, alluvium, alluvial fan deposits, fluvial deposits, lacustrine deposits, marine deposits, paleosols, coastal dunes, artificial grounds, and so on. However, it is true that there has been a lack of effort to understand how these sediments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current geomorphological conditions and how the past sedimentary environment was, i.e., the horizontal-vertical or space-time distribution patterns. To the scientific community the unconsolidated sediments on land provide evidence of not only the sedimentation environment during the Quaternary age but also the changes of the surface environments such as climate and vegetation, and sea level fluctuation. Despite these advantages, the limitations must be clearly recognized. It is necessary to study carefully the conditions such as sedimentation - erosion, remigration - resettlement, net sediment burial rate, and the presence of pedogenesis and bioturb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be fully aware of the precautions to be taken in the drilling survey to obtain sediment samples. KCI Citation Count: 3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8.5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