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인제군 혼합대에서 메타지놈 분석을 통한 지하수-하천수 상호작용 평가

본 연구는 강원도 인제군 인북천 혼합대에서 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수-하천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메타지놈 분석은 원핵 미생물과 진핵 미생물 분석으로 구성된다. 분석을 위해 2016년 12월 2일 인북천에 10 m 간격으로 설치된 4개의 피에조미터(IYHW1, IYHW2, IYHW3, IYHW4)에서 혼합대 물시료를 채취하였으며 대조군으로 하천수(IYSW1)와 인근 농업용 관정(IYAW1)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다. 또한 수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수질 분석과 양․음이온 분석을 수행하였다. 원핵 미생물의 군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4(3) pp. 293 - 300
Main Authors 전우현, 박신애, 이진용, 이정신, 조용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6.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8.54.3.293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강원도 인제군 인북천 혼합대에서 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지하수-하천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메타지놈 분석은 원핵 미생물과 진핵 미생물 분석으로 구성된다. 분석을 위해 2016년 12월 2일 인북천에 10 m 간격으로 설치된 4개의 피에조미터(IYHW1, IYHW2, IYHW3, IYHW4)에서 혼합대 물시료를 채취하였으며 대조군으로 하천수(IYSW1)와 인근 농업용 관정(IYAW1)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다. 또한 수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수질 분석과 양․음이온 분석을 수행하였다. 원핵 미생물의 군집 구조는Proteobacteria가 하천수인 IYSW1과 IYHW1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90.5~96.8%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진핵 미생물의 군집 구조는 Chytridiomycota 문은 IYSW1과 IYHW1에서 각각 57.8과 43.4%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반면 IYAW1과 IYHW4에서는 0.2% 이하로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IYSW1과 IYHW1은하천의 영향을 우세하게 받았고 IYAW1과 IYHW4는 지하수의 영향을 우세하게 받아 서로 유사한 미생물 군집구조를 보였다. 그리고 IYHW2와 IYHW3은 지하수-하천수 상호작용의 점이지대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evaluated for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interaction in the hyporheic zone of Inbuk Stream, Inje of Gangwon Province, using biological methods. A metagenomic analysis consists of eukaryotic microbial and fungi microbial communities. For this purpose, the samples of hyporheic water were collected from the four piezometers (IYHW1, IYHW2, IYHW3, and IYHW4) that were installed at 10 m interval across the stream. As a control group, the stream water (IYSW1) and the groundwater (IYAW1) were sampled on December 2, 2016. We also measured field parameters and analyze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hyporheic waters, stream water, and groundwater. The structure of prokaryote microbial community for high rates of Proteobacteria showed a high rate (90.5~96.8%) for all samples except IYSW1 and IYHW1. Also, Chytridiomycota in the structure of eukaryotic microbial community was predominant in IYSW1 (57.8%) and IYHW1 (43.4%) but was rarely (<0.2%) found in IYAW1 and IYHW4. As a result, it is inferred that IYSW1 and IYHW1 were dominated by stream water, and IYAW1 and IYHW4 were found to be dominated by groundwater. And IYHW2 and IYHW3 were a point zone of interaction between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where microbial and hydrological changes were dynamic. KCI Citation Count: 3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8.54.3.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