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질개량재에서 폴리머,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이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유기질 토양개량재(SOA, soil organicamendment)에서 폴리머(WSP, water-swelling polymer),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이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공원, 잔디구장 및 골프장 조성 시 이들 소재를 이용한 혼합개량재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전체 24개 처리구는 SOA 유기질개량재에 WSP 중합체,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을 이용하여 준비하였다. 온실에서 자란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WSP 중합체, 칼슘, 펄라이트 및키토산...
Saved in:
Published in | Weed & turfgrass science pp. 19 - 2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잔디학회
01.03.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14.3.1.1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유기질 토양개량재(SOA, soil organicamendment)에서 폴리머(WSP, water-swelling polymer),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이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공원, 잔디구장 및 골프장 조성 시 이들 소재를 이용한 혼합개량재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전체 24개 처리구는 SOA 유기질개량재에 WSP 중합체,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을 이용하여 준비하였다. 온실에서 자란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WSP 중합체, 칼슘, 펄라이트 및키토산 성분에 따른 잔디생존력, 피복율, 잔디밀도 및 지상부 생장을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파종후 1주 간격으로 조사한 발아율, 잔디밀도 및 초장은 이들 성분에 따라서 경시적인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SOA유기물개량재에서 피복율 및 잔디밀도에 대한 폴리머 효과는 WSP 중합체 혼합비율이 0~3% 사이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생존력 및 엽 생장의 경우 WSP중합체 혼합비율은 0~6% 사이가 적절하였다. 그리고 SOA유기질개량재에 혼합한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 중칼슘 및 펄라이트가 일반적으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효과적이었으며, 키토산은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나타났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존력에 가장 효과적인성분은 칼슘이었고, 반면 잔디밀도는 펄라이트 성분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키토산 성분은 생존력 및 잔디밀도에 거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지상부 엽 생장에 대한 효과는 펄라이트 >칼슘 >키토산 성분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키토산 성분은 초기 발아효과는 빠르게 나타났지만, 지상부 엽 생장은 파종 3주까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실무에서 식재층 지반 조성 시 적용할 수있는 모래+토양개량재 혼합구 조건에서 추가 생육검정 실험을 통해 이들 성분을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 응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판단되었다. Research was initiated in greenhouse to investigate effects of polymer, calcium, perlite and chitosan on thegrowth of Kentucky bluegrass (KB). A total of 24 treatment combinations were used in the study. Treatments were made ofwater-swelling polymer (WSP), calcium, perlite, and chitosan in soil organic amendment (SO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observed in germination rate, turfgrass coverage, turfgrass density and top growth among treatments. Germination rate, densityand plant height varied with time after seeding. A proper mix of WSP is considered to be lower than 3% for turfgrass coverageand density. Regarding survival capability and top growth, however, it was good under 6%. Overall KB growth was moreinfluenced by calcium and perlite than chitosan. Calcium and perlite were the most effective elements for early survival capacityand turfgrass density, respectively. But no effect was found by chitosan. Top growth increased with three elements, beingperlite > calcium > chitosan. The chitosan was effective in early germination, but there was no effect on top growth until 3 weeks,when compared with others. A further study is need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se material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in mixtures of sand and SOA before a field applica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2185.2014.3.1.007 |
ISSN: | 2287-7924 2288-3312 |
DOI: | 10.5660/WTS.2014.3.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