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의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건설산업은 1970년대 이후 지난 50년간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1997년 IMF 외환위기로 2010년까지 GDP 성장률을 밑도는 성장률을 보였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성장부진은 비록 건설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넘어서 국민경제 전체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경제성장의 기반산업인 건설산업이 위기에 직면한 요인이 무엇일까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설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본 연구는 건설산업의 성장요인을 산업연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시장가격...
Saved in:
Published in | 감정평가학논집, 11(2) pp. 119 - 13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감정평가학회
01.12.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771X 2671-5562 |
Cover
Summary: | 건설산업은 1970년대 이후 지난 50년간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1997년 IMF 외환위기로 2010년까지 GDP 성장률을 밑도는 성장률을 보였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성장부진은 비록 건설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넘어서 국민경제 전체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경제성장의 기반산업인 건설산업이 위기에 직면한 요인이 무엇일까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설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본 연구는 건설산업의 성장요인을 산업연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시장가격 기준에 의한 2000-05-10년 접속불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1.IMF 이후 지난 10년간 건설산업의 성장부진은 최종수요의 감소로 나타났다. 2.지난 10년간 건설관련 수출이 건설산업의 성장에 크게 기여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건설산업에서 기술진보는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설산업의 경쟁력제고를 위해 최종수요에 의한 성장이 아닌 건설관련 수출과 기술진보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performed the motor force of economic growth in the past 50 years since 1970 in our country. But, it has turned out that the growth rate of the sector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lower than GDP growth rate by 2010 since the IMF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growth recess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very serious matter because of diminishing the whol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al economy beyond diminishing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f so, I raised a question which factors lead to the crisi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is a core industry of economic growth. In this sense, In this research, I have analysed the growth factor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using an input-output analysi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I-O table of year from 2000 to 2010 of korea. Suggestions that could b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following: 1. It has turned out that the growth recess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e caused by diminishing of final demand in the past 10 years since IMF financial crisis. 2. It has analysed that Expor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growth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3. It has turned out that it was insignificant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suggest that it need to concentrate a political competence in technological improvement and Expor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instead of depending on final deman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SER000010156.2012.11.2.002 |
ISSN: | 1598-771X 2671-55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