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업지역의 계획적 관리를 위한 산업기반평가모델 연구- 서울시 준공업지역을 중심으로

2030서울시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에서는 새롭게 도래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미래상을 “산업과문화, 주거, 상업이 공존하는 복합산업공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들이 융합되고 이를 지원하는 기능들이 복합된 복합산업공간으로 서울시 준공업지역을 육성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존 산업기능의 유지, 활성화에 기반한 새로운 신산업 육성이 필요한데, 특히 기존 산업기능의 유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에 집적되어 있는제조업이 밀집된 지역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산업재생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53(2) pp. 123 - 145
Main Authors 권영필, 남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04.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2030서울시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에서는 새롭게 도래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미래상을 “산업과문화, 주거, 상업이 공존하는 복합산업공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들이 융합되고 이를 지원하는 기능들이 복합된 복합산업공간으로 서울시 준공업지역을 육성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존 산업기능의 유지, 활성화에 기반한 새로운 신산업 육성이 필요한데, 특히 기존 산업기능의 유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서울시 준공업지역에 집적되어 있는제조업이 밀집된 지역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산업재생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제조업 산업기반을 보다 면밀하게파악하고, 공장비율방식의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는새로운 산업기반평가 방식을 마련하여 체계적으로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준공업지역의 계획적 관리를위해 제조업 산업기반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할 수있는 산업기반평가모델을 개발하여 서울시 준공업지역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적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of the industrial base for the planned management in the semi-industrial zone. I selected eight indicator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ndustrial base, and I used the AHP method to calculate the index weight. I calculated the standardized score of the industrial base index for every 1,804 basic blocks in semi-Industrial zone of Seoul. Application of a model that evaluates the industrial base enables the evaluation of industrial base that comprehensively covers the current state and possibilities of the industr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velopment of indiscriminate apartment complexes in areas where the industrial base is excellent, which is a problem of the ratio of the factories used as existing indicators, and the Seoul semi-Industrial zone was systematically planned from before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manage. KCI Citation Count: 3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8.04.53.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