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상황에서의 경찰의 역할

재난은 시민들과 법 집행 기관들이 상호 작용이 요구되는 사건이다. 대부분의 비상 대응 계획은 일반 대중들이 독립적ㆍ개별적으로 행동하는 매뉴얼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형사사법기관 중 경찰조직은 시민들의 비상상황에서 취해야 할 행동 중에 위험 인식,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자원에의 접근을 포함한 시민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학적 요인 등의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경찰은 시민들의 행동 우선순위와 행동에 대한 반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성공적인 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공공정책연구(구 법정리뷰), 34(2) pp. 115 - 133
Main Authors 윤병훈, 주성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지방자치연구소 01.0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439
2671-8472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재난은 시민들과 법 집행 기관들이 상호 작용이 요구되는 사건이다. 대부분의 비상 대응 계획은 일반 대중들이 독립적ㆍ개별적으로 행동하는 매뉴얼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형사사법기관 중 경찰조직은 시민들의 비상상황에서 취해야 할 행동 중에 위험 인식,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자원에의 접근을 포함한 시민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학적 요인 등의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경찰은 시민들의 행동 우선순위와 행동에 대한 반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성공적인 재난상황의 대응 및 대피를 용이하게 하는 감시 전략을 식별하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델은 시민들이 어떻게 행동하고 경찰이 교육을 받는가에 따라 시민의 준법정신을 강화할 수 있고, 더 많은 시민들에게서 해로운 것들을 제거하며, 생명을 구하고, 지역 사회와 경찰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Disaster evacuations are stressful events in which citizens and law enforcement frequently interact with each other. Most emergency response plans are based on military strategies that operate independent of the general public, but we argue that the police must be cognizant of several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citizens’ behavior during evacuations, including risk perception, social networks, and access to resources. Drawing from social psychological, criminal justice, and disaster research, we propose a model that (a) describes how citizens’ priorities and behaviors change as a disaster evolves and (b) identifies policing strategies that accommodate these changing behaviors and facilitate a successful evacuation. Our model, embedded in how people behave and what police are taught, can increase citizen compliance with law enforcement during disaster evacuations, remove more citizens from harm, save lives, and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and the police. KCI Citation Count: 2
ISSN:2384-0439
2671-8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