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및 분노억제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정서조절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및 분노억제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7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정서조절곤란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또한,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분노억제를 각각 매개로 한 간접효과,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분노억제를 각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사회과학연구논총 , 34(2) pp. 233 - 267
Main Authors 김혜원, 이지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사회과학원 01.10.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8987
2671-9029
DOI10.16935/ejss.2018.34.2.00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정서조절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및 분노억제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7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정서조절곤란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또한,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분노억제를 각각 매개로 한 간접효과,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분노억제를 각각 이중매개로 한 간접효과,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및 분노억제를 다중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애착회피는 정서조절곤란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생의 애착회피와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억제를 각각 매개로 한 간접효과,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를 이중매개로 한 간접효과,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및 분노억제를 다중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와 추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anger suppress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emotion dysregula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70 college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nxiety had direct effect on emotion dysregulation. And attachment anxiety affected emotion dysregulation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anger suppression respectively. Also attachment anxiety affected emotion dysregulation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anger suppression. In addition, attachment anxiety affected emotion dysregulation through the sequential multiple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anger suppression. Second, attachment avoidance had not direct effect on emotion dysregulation.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affected emotion dysregulation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suppression respectively. And attachment avoidance affected emotion dysregulation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lso, attachment avoidance affected emotion dysregulation through the sequential multiple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anger suppression.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2
ISSN:1975-8987
2671-9029
DOI:10.16935/ejss.2018.34.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