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체험의 인식과 민주주의의 상상력 :김승옥과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에 나타난 ‘생명’과 ‘여성’
이 글은 1960년대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비교 고찰을 통해 전후 체험의 인식과 민주주의의 상상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김승옥과 다자이 오사무 소설에 나타난 ‘생명’과 ‘여성’의 의미를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논의의 배경으로 1960년대의 세계문학 및 일본문학의 수용 양상과 ‘전후’와 관련된 문학적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1960년대 일본과 한국에서 ‘전후’는 시대적으로 구별되는 경험인 동시에 근대 자본주의에 대응하는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를 함께 보여주는 계기가 된다.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은 여성인물을 통해 패...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학논집, 0(72) pp. 151 - 17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학연구원
01.09.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8902 2671-7492 |
DOI | 10.18399/actako.2018..72.006 |
Cover
Summary: | 이 글은 1960년대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비교 고찰을 통해 전후 체험의 인식과 민주주의의 상상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김승옥과 다자이 오사무 소설에 나타난 ‘생명’과 ‘여성’의 의미를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논의의 배경으로 1960년대의 세계문학 및 일본문학의 수용 양상과 ‘전후’와 관련된 문학적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1960년대 일본과 한국에서 ‘전후’는 시대적으로 구별되는 경험인 동시에 근대 자본주의에 대응하는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를 함께 보여주는 계기가 된다.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은 여성인물을 통해 패전 이후 새로운 주체의 윤리를 모색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성인물들이 보여주는 강한 생존 의지는 무력하고 공허한 남성인물들의 자기 파괴와 대조된다. ‘마음’의 혁명과 관계된 생명의 가치는 다자이 오사무 소설이 발견한 새로운 미래이다. 김승옥 소설에서 탐색되는 전후의 체험은 여성과 아이가 감당하는 황폐한 삶으로 나타난다. 그의 소설 주인공인 남성지식인들은 모멸감과 부끄러움, 자기기만을 통해 여성인물에 대한 양가적인 감정을 토로한다. 이때 여성인물은 남성의 속물의식을 비추는 거울인 동시에 남성의 환상을 벗어나는 현실적인 인물들로 나타난다.
김승옥 소설과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은 불합리한 현실을 자각하고 개인의 평등과 자유를 새롭게 모색하는 민주주의의 이상을 공유한다. 두 소설이 형상화한 생명과 여성은 자본주의 근대의 분열과 모순을 감당하는 입체적인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ostwar experience and the imagination of democracy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Japanese literature in the 1960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compared the meaning of ‘life’ and ‘woman’ in the novels of Kim Seung-ok and Dazai Osamu. First, as a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acceptance of world literature and Japanese literature in the 1960s and the difference in literary perception related to ‘postwar’. ‘Postwar’ was an distinguished experience for Japan and Korea in the 1960s and became an trigger to show the commonal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of responding to modern capitalism.
Dazai Osamu's novel is a work that seeks ethics of a new subject after defeat through female characters. The Will to Live shown by the female characters contrasts with the self-destruction of male characters with helpless and empty. The value of life related to the revolution of 'mind' is a new future discovered by Dazai Osamu. The postwar experience of Kim Seung-ok's novels appears to be a devastating life for women and children. Male intellectuals, the hero of the novel, express his ambivalent feelings about female characters through humiliation, shame, and self-deception. At this time, the female character is a mirror that reflects the male's consciousness of the snob, and at the same time, appears as a realistic person who escapes the male fantasy.
The novels of Kim Seung-ok and Dazai Osamu is aware of the absurd reality and share the ideals of democracy seeking new equality and freedom for the individual. The life and the woman that the two novels embodied have a stereoscopic meaning to deal with the divisions and contradictions of modern capitalism.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newcms.kmu.ac.kr/actakoreana/index.do |
ISSN: | 1738-8902 2671-7492 |
DOI: | 10.18399/actako.2018..72.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