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예술 활동이 직무몰입, 창의적 행동, 업무성과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과거와 다르게 문화․예술이 경쟁우위 획득을 위한 핵심요소로 인식되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방식과 향유 방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금융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활동 참여가 조직의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는 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창작활동은 직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감상활동은 직무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상활동은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창작활동은 창의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Saved in:
Published in | 문화기술의 융합, 4(3) pp. 51 - 6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8.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DOI | 10.17703/JCCT.2018.4.3.51 |
Cover
Summary: | 과거와 다르게 문화․예술이 경쟁우위 획득을 위한 핵심요소로 인식되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방식과 향유 방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금융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활동 참여가 조직의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는 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창작활동은 직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감상활동은 직무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상활동은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창작활동은 창의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몰입은 창의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몰입과 업무성과 간의 관계는 직무몰입이 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창의적 행동역시 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활동 참여와 업무성과 간의 매개효과를 직무몰입과 창의적 행동으로 살펴본 결과, 직무몰입과 창의적 행동이 창작활동과 업무성과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상활동과 업무성과 사이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몰입과 업무성과 사이의 창의적 행동에 대한 매개효과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nlike in the past, culture and the arts are now being recognized as key elements for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changing the approach and enjoyment methods of culture and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f culture and art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of the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at M Financial Company.
The study resulted in four different findings. First, creative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but appreciation activitie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commitment. Second, although appreci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behavior, it has been confirmed that creative activitie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behavior. Third, job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e behavior.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shows that job commitment affects job performance positively; creative behavior also positively affects job performance. Fin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 activities and job performance with job commitment and creative behavior. As a result, job commitment and creative behavior are found to mediate between creative activities and job performance. However, it did not mediate between appreciation activities and job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behavior between job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was partially mediated.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
ISSN: | 2384-0358 2384-0366 |
DOI: | 10.17703/JCCT.2018.4.3.51 |